미국증시 (287)
미국증시, 백신접종률과 코로나 확진자증가/넷플릭스 실적발표 후 급락 04.20 미국주식 시황
728x90
반응형

미국증시는 글로벌 코로나 확진자 증가세와 더불어 좋은 기업실적 발표에도 불구하고 주가에 이미 선반영되어있다는 논리에 하락마감했습니다. Dow -0.75%, Nasdaq -0.92%, S&P 500 -0.68%

 

IBM, JNJ, PG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은 예상보다 좋게 나왔습니다. IBM의 경우 5분기만에 매출이 다시 성장하면서 주가가 많이 상승했는데 레드헷의 인수효과를 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코로나 백신접종이 50%를 넘기고 전국민 백신접종이 얼마남지 않은 상황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6.7만건을 넘는 확산세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미국뿐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도 코로나 확산이 되면서 경기재개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 반영되었습니다.

주요 기술주, 플랫폼 기업 실적발표의 시작인 넷플릭스의 실적발표가 있었습니다. 매출과 이익보다는 가장 중요시되는 신규가입자 수가 급감하면서 시간외에서 10%넘게 하락했다가 조금 회복했습니다.

넷플릭스는 시장의 컨센서스였던 신규 가입자 600만건을 크게 하회한 400만건 이하를 발표했습니다. 21년 2분기에는 100만명의 신규 가입자 증가를 전망한다고 컨퍼런스콜에서 말했습니다. 미국, 캐나다 지역의 평균 지불 금액은 $14.25로 지난해 대비 9% 상승했습니다. ARPU증가는 긍정적인 소식이지만 신규가입자 유치를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 재개가 된다면 컨텐츠 제작이 활발해지면서 다시금 넷플릭스로 사용자를 모으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https://www.cnbc.com/2021/04/20/market-decline-looks-like-a-short-term-pullback-for-now-analysts-say.html

 

This week's market decline looks like a brief pause for now, analysts say

Stocks have entered a choppy period that technical analysts say has the look of a short-term pullback for now.

www.cnbc.com

월요일과 화요일 시장이 이틀연속 하락했지만 월가의 전문가들은 크게 우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시장은 사상최고치 수준에 도달 후 조정을 받고 있으며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는것은 당연하다고 여기고있습니다.

추세적인 상승을 보여주고 있기에 추세를 깨고 내려오는 50일선을 지킨다면 오히려 매수의 기회가 오는 것이고 50일선을 깨고 내려간다면 시장이 좀 더 하락할 것을 염두해두어야한다고 했습니다.

다음주에는 FANG의 실적발표가 있습니다. 주요 기술주들의 Earning consensus는 전망보다 좋을 것으로 되어있기에 실적 걱정은 크게 없지만 앞으로의 가이던스를 어떻게 발표하는지에 대한 기대가 모아질 것으로보입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미국증시 다시 사상최고가, 긴축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04/16 시황
728x90
반응형

미국증시는 여전히 상승하며 마감하며 4주연속 상승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각각 사상최고가를 경신하면서 미국경제가 좋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고 있습니다. Dow +0.48%, Nasdaq +0.1%, S&P 500 +0.36%

 

지금 시장의 상황이 어렵습니다. 빅테크가 독보적으로 시장을 이끌고 있는 상황도 아니고 그렇다고 코로나피해주, 시클리컬이 계속해서 주도하는 상황도 아닙니다. 로테이션이 빠르게 돌아가고 하루하루 시장의 주도주가 바뀌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구성에 따라 희비가 많이 엇갈릴 것 같습니다.

 

한주동안 금융주의 실적발표가 있었는데 정말 다 좋게 나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상업은행을 보유한 종목들은 좋은 실적에도 불구하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이유는 예금>대출 때문입니다. 상업은행은 예금을 받아서 대출을 해줘 예대마진으로 수익을 내는것이 기본이지만 코로나 경제상황에서 개인과 기업들이 예금은 하지만 최우선으로 대출을 상환하며 추가적인 부채를 일으키지 않았기 때문에 상업은행 부문의 실적이 다소 부진했다고 볼 수 있고 그에 따라 주가가 조금 하락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전히 아케고스 여파는 있습니다. Morgan Stanley(MS)가 실적을 발표했지만 떨어졌던건 아케고스 사태로 손실액이 9억 1천만달러로 알려졌기 때문입니다. 실적시트는 아래에서 보시면됩니다.

https://www.cnbc.com/2021/04/16/morgan-stanley-had-911-million-in-losses-tied-to-archegos-fund-meltdown-.html

 

Morgan Stanley had $911 million in first-quarter losses tied to Archegos fund meltdown

The impact on Wall Street of the epic meltdown of Archegos is coming into clearer view.

www.cnbc.com

크리스토버 월러 연준위원은 인터뷰에서 경제가 회복되고 있는 것은 맞지만 긴축을 해야할만큼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경제데이터가 회복되고 좋게 나오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실업률은 높고 그 중에서도 소수민족 등 사회적 약자들의 피해가 아직 심하다고 밝히면서 긴축걱정은 이르다라고 했습니다.

https://www.cnbc.com/2021/04/16/feds-waller-says-the-economy-is-ready-to-rip-but-policy-should-stay-put.html

 

Fed's Waller says the economy is 'ready to rip' but policy should stay put

Federal Reserve Governor Christopher Waller told CNBC there's "no reason to be pulling the plug" on policy support.

www.cnbc.com

Morgan Stanley(MS)실적발표

순이익 부분에서 작년 동기대비 100%이상 상승, 실적을 이끌어준 것은 스펙열풍과 다양한 투자부문에서의 성과

Bank of America(BAC)

소매부분의 실적성장이 없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미국증시, 너무 좋은 경제지표 다시 사상최고가달성 04/15 시황
728x90
반응형

미국증시는 어제는 하루 쉬어가는 모습이었지만 다시 오늘 좋은 경제데이터를 호재로 인식해 상승하며 사상최고치를 달렸습니다.

DOW +0.9%, Nasdaq +1.31%, S&P500 +1.11%

 

어제의 중요 경제데이터는 3월 소매판매 지수입니다. 2월에는 소매판매가 마이너스였는데 이유는 텍사스, 애리조나 등 눈보라와 기상이변으로 인해 한동안 생활이 마비되었던 적이 있습니다. 그로 인해 마이너스가 있었는데 3월에는 소매판매가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기존 소매판매 예상치는 5.9%를 예상했지만 9.8%나와서 생각보다 소비가 견조하다는 것을 나타내주었습니다. 현재 미국에 부동자금 즉 어제라도 소비가 가능한 자금이 2조달러에 달한다는 이야기를 JP모건의 제이미다이먼 회장이 말했습니다.

또 하나의 데이터가 좋은 소식을 가져다 주었는데 실업수당청구건수입니다.

코로나 이후 처음으로 57.6만건이 나오면서 고용지표의 뚜렷한 회복세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경제데이터가 좋게 나오면서 시장의 상승을 이끌었고 경제데이터가 좋다면 기술주는 빠지고 코로나 피해주들이 많이 올라줘야 했지만 전체적으로 상승했던 이유는 미국채 10년물 금리도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1.574%로 하락했는데 상당히 금리가 안정된 모습입니다. 경제데이터 호조, 금리하락, 실적까지 3박자가 맞아떨어지면서 어제 하루 굉장히 시장이 좋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코인베이스

가상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는 상장하고 계속하락하며 마감했습니다. 기업의 가치가 보는 시각에 따라 50억달러 ~ 2천억달러까지 밴드가 넓기 때문에 투자를 하실 분은 확실한 기준을 가지고 하시면 좋겠습니다.

기업실적

Bank of America(BAC)

BAC는 아주 좋은 실적을 발표했지만 주가는 하락마감했습니다. 그동안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과 금리상승으로 금융주가 많이 올랐는데 이미 선반영한 측면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PepsiCo(PEP)

소비재의 대표 종목인 PEP역시 좋은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전년비 매출과 이익이 모두 성장해서 코로나의 영향을 조금씩 벗어나는 모습입니다. 특히 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 아시아태평양에서 매출 성장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상장, 금융주 실적발표 04/14 미국증시 시황
728x90
반응형

미국증시는 장시작전 금융주의 실적발표를 시작으로 실적시즌을 열었고 초기에는 무난하게 상승하는 모습이었다가 후반들어서 하락하는 모습이었습니다.

DOW +0.16%, Nasdaq -0.99%, S&P 500 -0.41%

 

시장의 하락이 미국시간 2시쯤부터 나타났는데 그 시간에 코인베이스가 거래가 시작되었던 시간과 비슷합니다. 특히 테슬라, 페이팔, 스퀘어가 하락을 많이했는데 코인베이스의 영향으로 비트코인의 가격에 영향을 주었고 그것이 또 비트코인과 연동된 3가지 주식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https://www.cnbc.com/2021/04/14/coinbase-to-debut-on-nasdaq-in-direct-listing.html

 

Coinbase closes at $328.28 per share in Nasdaq debut, valuing crypto exchange at $85.8 billion

Coinbase held its direct listing Wednesday on the Nasdaq, luring public market investors who've been waiting to get into the cryptocurrency exchange.

www.cnbc.com

사실 개인적으로 이렇게 소수의 종목이 연동된 자산이 있고 또 그 자산은 변동성이 엄청심한 것은 좋아하지 않습니다. 비트코인의 가치에 따라 주가가 움직이는 것이 아닌 기업이 하고있는 사업에 가치로 움직이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어제 변동성이 있는 시장이었음에도 DOW지수가 상승으로 마감하고 S&P 500이 나스닥 대비 덜 하락할 수 있었던 이유는 금융주의 실적 덕분이었습니다. 아마 이렇게 나올 수 있는 실적이 또 언제가 있을까 싶을정도로 잘나왔습니다.

JPMorgan Chase는 EPS $4.50으로 예상치보다 47.5% Beat, 매출역시 11.7% Beat하면서 Earning Surprise가 나왔습니다.

Goldman Sachs 역시 EPS $18.60으로 예상치 $9.79 대비 90% Beat, 매출 64.6% Beat로 Earning Surprise였습니다.

금융주가 이렇게 실적이 잘나왔는데도 불구하고 주가가 하락했던 것은 미리 선반영을 했기때문입니다. 금리상승이 지속되었을 당시 금융주가 많이 올랐고 실적이 좋을 것으로 예상은 되었기 때문입니다. 아케고스 여파로 주가가 하락했던 골드만삭스는 상승했지만 JP모건은 실적발표 후 조정 받는 모습이었습니다.

골드만 삭스의 경우 IB부분에서 매출이 73% 증가했고 Global Markets에서도 47% 상승했습니다.

JP모건 역시 IB부분에서 46%의 매출성장이 나와 투자부분에서의 성과가 좋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코인베이스에 관심이 많으실텐데 코인베이스는 IPO한 것이 아닌 직상장으로 주식을 추가발행하지 않고 상장했습니다. 코인베이스가 시리즈A를 투자받을 당시 20센트에 받기 시작하여 현재 가격이 381달러입니다. 충분히 기존 투자자와 VC입장에서 엑싯 할 수있는 상황이 연출됩니다.

VC들이 가지고 있는 물량이 좀 많기 때문에 코인베이스 투자자 분들께서는 이들의 행보를 유심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cnbc.com/2021/04/14/coinbase-who-gets-rich.html

 

Here's who just got rich from the Coinbase debut

New York's Union Square Ventures first invested in Coinbase at 20 cents a share in 2013. Eight years later, the stock debuted on the Nasdaq at $381.

www.cnbc.com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미국증시, 나스닥의 강세와 JNJ 백신접종 중단 04/13 미국주식 시황
728x90
반응형

미국 증시는 존슨앤드존슨 백신 접종 중단으로 다우지수가 하락했고 금리 하락과 실적 기대감 등 나스닥 강세였던 시장이었습니다.

DOW -0.2%, Nasdaq +1.05%, S&P 500 +0.33%

 

전반적으로 시장은 종목별, 섹터별로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개별적인 종목의 호재와 정책 등 다양한 이슈에 영향을 받는 모습이고 특히나 반도체가 어제오늘 심하게 엇갈렸습니다.

JNJ는 백신 접종 후 6명의 혈전 환자가 발생하여 FDA에서 접종 중단 권고를 내렸고 주가는 하락했습니다. 반면 모더나는 2차 접종 시 90% 이상 예방 효과가 있다면서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테슬라의 상승은 8%나 올랐는데 원인으로 비트코인의 상승, GM의 칩 공급 개선으로 중단 시간 감소의 영향을 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코인베이스 상장 기대감으로 비트코인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가상 자산에 대해서 명확한 방향을 아시는 분은 비트코인이 투자의 자산이 되겠지만 저는 아직 방향을 몰라서 투자를 못하고 있습니다.

미국채 10년 물 금리는 어제 -3.35%를 기록했습니다. 1.6 ~ 1.75의 박스권을 형성한 느낌인데 지금까지 금리가 빠르게 상승했지만 2%까지 올라가기에는 인플레이션 압박이 거세지 않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알 수 있는 Core CPI 지표가 발표되었었습니다. 시장이 열 때 발표되었고 0.3%가 발표되었습니다. 예상치는 0.2%로 상회하는 결과가 나왔지만 물가가 너무 오르는 상황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주에 가장 핫한 소식은 실적 발표보다 코인베이스 상장 소식일 것입니다. 코인베이스가 아마도 시초가 $250를 형성하고 시가총액 655억 달러 정도 가치를 부여받을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자세한 소식은 뉴스 기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cnbc.com/2021/04/13/coinbase-reference-price-250-ahead-of-direct-listing.html

 

Coinbase gets reference price of $250 per share from Nasdaq ahead of Wednesday's direct listing

The Nasdaq said on Tuesday that Coinbase's reference price for its direct listing is $250, which would value the company around $65.3 billion (fully diluted).

www.cnbc.com

 

OPEC의 월간 보고서가 발표되었습니다. 2021년 원유 수요는 하루 590만 배럴이며 전년대비 6.6% 증가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다만 작년 7월에 발표되었던 전망인 700만 배럴에 비하면 많이 줄어든 수치입니다. 백신 접종이 시작되고 꾸준한 수요 증가를 예상하고 있고 실제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까지 집단면역을 이룬 국가는 이스라엘뿐이고 미국과 영국을 제외하면 집단면역에 도달하는 시간은 연말까지는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https://www.cnbc.com/2021/04/13/oil-opec-raises-2021-demand-growth-forecast-on-hope-pandemic-wanes.html

 

OPEC raises 2021 oil demand growth forecast on hope pandemic wanes

OPEC on Tuesday raised its forecast for growth in world oil demand this year on expectations the pandemic will subside.

www.cnbc.com

https://in.naverpp.com/usstock/challenge/291496214244416/291496145824864

 

해외주식, 특히 미국주식 투자할 때 참고해야 할 사이트 목록 정리

밤에 잠이 안 오기도 하고 해서 제가 투자에 참고하는 사이트들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물론 이 글은 맛보기입니다. 보다 자세한 설명과 다양한 사이트들은 진짜 어디 가서 돈 주고도 못 배우

in.naverpp.com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미국증시, 3대 지수 약보합 마감 실적시즌 앞둔 관망세 04/12 시황
728x90
반응형

미국은 전반적으로 저번주에 많이 오른 것에 대한 조정 그리고 개별종목들의 이슈에 따라 움직였습니다.

DOW -0.16%, Nasdaq -0.36%, S&P 500 -0.02%로 3대지수모두 약보합 마감했습니다.

 

가끔 커뮤니티를 보다보면 시장이 왜이러냐고 그러는 분들이 계실텐데 그런 분들이 제 블로그를 볼지는 모르겠지만 포트폴리오를 객관적으로 점검해보시길 바랍니다. 지금 장이 안좋을수가 없는데 안좋다는 것은 뭔가 문제가 있는거겠죠.

파월 의장은 전날인 일요일 CNN New 60 Min에 출연하여 인플레이션이 2%를 도달하기를 원하고 한번달성하는 것이 아닌 지속적으로 달성하길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연준에서는 계속 일관된 말을 하고 있지만 그동안 시장에서 불안감을 표하면서 금리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되었는데 이제는 정말 경제지표, 고용지표들을 보면서 연준에 대한 믿음을 가져도 좋을 것 같습니다.

중국의 화웨이가 현재의 반도체 쇼티지는 미국의 재제가 원인이라고 말했습니다. 뭐 자기들이 부족한건 원인이겠지만 글로벌적으로 원인이라고 보기에는 억지주장에 가깝습니다. 화웨이는 앞으로 미래 먹거리인 자율주행에 10억달러의 투자를 진행하겠다고 밝혔고 자신들의 자율주행 기술이 테슬라를 뛰어넘는다고 밝혔습니다. 뭐 역시 중국이라 믿음은 가지 않습니다.

https://www.cnbc.com/2021/04/12/huawei-blames-global-chip-shortage-on-us-sanctions.html

 

China's Huawei blames global chip shortage on U.S. sanctions

Huawei said U.S. sanctions on the company are partly to blame for the global chip shortage that's the subject of a White House conference on Monday.

www.cnbc.com

화요일에는 소비자 물가지수 CPI가 발표됩니다. 그동안 공급부족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쇼티지가 발생했고 그로인한 물가상승 압력이 심한 상황입니다.

물가상승은 피할 수 없을지도 모르지만 생각보다 수요는 크지 않고 공급이 원할하게 진행되면 물가는 크게 올라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월요일 삼프로 퇴근길라이브를 한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번주부터는 실적발표가 시작됩니다. 금융주를 시작으로 실적이 발표되니 한달간 실적에 따른 종목별 움직임이 있을겁니다. 자신이 보유한 종목의 실적 전망이 어떤지 확인해보시고 실적발표날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in.naverpp.com/usstock/challenge/294277601918304/294277015047712

 

미국증시 1분기 실적 & 기업실적 전망 4월 3주차(feat. Refinitiv)

4월 3주차 미국증시 이익 전망에 대해서 전해드립니다. 자료는 모두 Refinitiv 리서치 자료이며 데이터는 신뢰하시고 저의 사견은 알아서 해석하시면 되겠습니다. 1분기 S&P500의 동일가중 어닝입니

in.naverpp.com

현재 시장을 바라보는 관점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백신이 나와서 백신에 따른 경제재개 수혜주, 공급 부족으로 인한 쇼티지 발생은 시클리컬, 각종 산업의 테마 등등 여러가지 투자처가 있을 것입니다.

위 표에는 연초부터 3월15일까지, 3월 15일부터 4월 5일까지의 섹터 퍼포먼스입니다.

저번주부터 시장의 분위기가 바뀌고있기 때문에 4월 5일까지는 에너지, 금융, 산업이 월등한 수익률을 보여주었습니다. 물론 코로나로 인해서 피해를 입었고 주가역시 크게 하락했었기 때문에 회복+@정도 입니다. 하지만 4월 5일부터는 다시 기술주가 상승하기 시작했고 3개의 섹터는 조금 쉬어가는 모습입니다.

이렇게 시장은 살아있는 생물처럼 계속해서 바뀌어갑니다. 성장주와 가치주로 분류되어서도 로테이션이 돌아가고 섹터별로도 로테이션이 돌아갑니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분산투자를 하라는 말은 이렇게 계속해서 움직이는 시장에 대비하기위해 변동성은 줄이고 수익은 최대한 지켜가는 싸움을 하는 것입니다.

중소형 성장주에 100% 몰빵을 했다고생각하면 연초에 얼마나 힘들었을까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기업에 믿음으로 투자하면 모를까 남들이 좋다고 말했던 종목에 들어가신 분이라면 아마 미국주식 왜이래라고 욕할거라 생각합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미국주식 4월 3주차 주요 이슈 및 실적발표 일정
728x90
반응형

화요일 발표될 주요 데이터는 3월 소매 판매 보고서로 +10% 증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우 존스 컨센서스 예측은 2월 - 3% 이어 +5.6% 상승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월 중순에 개인에게 전달된 1,400 달러의 현금지급으로 3월 매출이 증가할 것입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예방 접종을 받음에 따라 더 많은 경제가 활성화되었습니다. 현재 미국의 백신 접종률은 50%가 넘습니다.

수요일 JPMorgan(JPM), Goldman Sachs(GS) 및 Wells Fargo(WFC)와 함께 보고를 시작합니다 . Bank of America(BAC)와 Citigroup(C)이 목요일, Morgan Stanley(MS)는 금요일에보고합니다. 펩시(PEP)와 델타 항공(DAL)도 발표합니다.

“1 분기에 대한 컨센서스는 이익이 약 22%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입니다. 이익증가율은 예상외로 30%에 가까울 수 있습니다.”라고 Fundstrat의 Brian Rauscher가 말했습니다.

Rauscher는 임의소비재, 금융, 소재 같은 경기순환섹터, 경제재개의 혜택을받는 모든 섹터에서 가장 많은 이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Refinitiv는 이제 1분기에 25%의 이익성장을 예상합니다. 지금까지 기업들의 81%는 추정치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금융은 76%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Refinitiv에 따르면 임의소비재는 1년 전 락다운으로 인해 큰 타격을 받았으며 수익은 98% 회복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월요일

오후 1:00 Newton-Needham 지역 회의소 웨비나에서 보스턴 연준 Eric Rosengren 회장

오후 2:00 연방 예산

화요일

실적발표 : Fastenal

오전 6시 NFIB 중소기업 설문 조사

오전 8시 30 분 CPI

12:00 pm 인종과 경제에 관한 연준 웨비나 이벤트 – 애틀랜타 연준 Raphael Bostic 회장, Boston Fed 회장 Eric Rosengren, 캔자스 시티 회장 Ester George, Minneapolis Fed 회장 Neel Kashkari, San Francisco Fed 회장 Mary Daly

12:00 pm 필라델피아 연준 패트릭 하커 대통령, 델라웨어 주 상공 회의소 웨비나

수요일

실적발표 : JPMorgan Chase, Goldman Sachs , Wells Fargo, Bed Bath and Beyond , Infosys, First Republic Bank

오전 8시 30 분 수입 가격

오전 9시 15 분 댈러스 연준 롭 카플란 총재, Woodlands Chamber 웨비나

12:00 pm 워싱턴 경제 클럽 웨비나에서 제롬 파월 연준 회장

2:00 pm 베이지 북

오후 2:30 Rutgers Finance Society 웨비나에서 John Williams 뉴욕 연준 회장

오후 3:45 Shadow Open Market Committee 회의에서 Richard Clarida 연준 부회장

4:00 pm 조지아 공대 건축 학교 웨비나에서 애틀랜타 연준 라파엘 보 스틱 회장

목요일

실적발표 : Bank of America , Citigroup, UnitedHealth, PepsiCo, BlackRock, Alcoa , PPG Industries, US Bancorp, Charles Schwab, Delta Air Lines , Rite Aid, Wipro, Taiwan Semiconductor, Truist Financial, SunTrust

오전 8시 30 분 최초 청구

오전 8시 30 분 소매 판매

오전 8시 30 분 필라델피아 연준 조사

오전 8시 30 분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

오전 9시 15 분 산업 생산

오전 10시 비즈니스 인벤토리

오전 10:00 NAHB 주택 건축업자 감정

오전 11시 30 분 애틀랜타 연준 라파엘 보 스틱 총재와 대서양 웨비나 인터뷰

오후 2:00 Money Marketeers 웨비나에서 샌프란시스코 회장 Mary Daly

오후 4:00 TIC 데이터

4:00 pm Swarthmore College 웨비나에서 Loretta Mester 클리블랜드 연준 회장

금요일

실적발표 : Morgan Stanley, PNC Financia l, Kansas City Southern , Bank of NY Mellon, Citizens Financial, Ally Financial , State Street

오전 8시 30 분 비즈니스 리더 설문 조사

오전 8시 30 분 숙소 시작

오전 10시 소비자 심리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3월 고용지표 서프라이즈 04/05 미국주식 시황 미국증시
728x90
반응형

전반적으로 굉장히 좋았던 시장이었습니다. 장 시작부터 3대지수 모두 1%가까운 상승을 보여주면서 시작했고 빅테크 위주의 흐름이 살아나면서 시장에 상승 모멘텀을 더해주고 있습니다.

지난 금요일 비록 미국주식 시장은 휴장이었지만 고용지표가 발표되었습니다. 신규 일자리는 91만건, 실업률은 6%가 발표되어 서프라이즈 고용이 발표되었습니다. 고용지표가 오늘 시장에 영향을 주었고 금리가 안정되면서 금리에 따른 시장의 변화가 적어지고 있습니다.

3대지수 모두 1% 넘는 상승률을 보여주었고 S&P 500 +1.44%, Dow 30 +1.13%, Nasdaq +1.67% 마감했습니다.

 

섹터별로 보면 유가가 하락한 영향으로 에너지 섹터만 하락마감했습니다. 섹터 전반적으로 리츠를 제외하면 모두 좋았던 하루였습니다.

어제 시장을 보면서 느낀건 대형주위주의 시장이었던 것 같습니다. 중소형주를 많이 가지고 계신분이라면 어제는 지수는 올라가는데 내 수익률은 내려가서 이상하게 생각하셨을거라 봅니다.

대표적인 중소형 지수인 Russell 2000은 + 0.49% 상승마감해서 대형주 대비 뒤쳐진 결과를 보였습니다.

수요일에는 FOMC 3월 회의록이 공개됩니다. FOMC 위원들의 생각을 한번 보고 현재 경제상황을 어떻게 보고있는지 금리 인상이 보다 빨리 될 것인지 테이퍼링은 2021년 하반기에 당겨진 일정으로 시작할지를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시장은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과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법안에 대한 기대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리스크도 생각해야합니다.

경기가 회복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과 테이퍼링의 시작이 보다 빨리 올 수 있고 인프라 법안의 경우 의회를 통과해야하기 때문에 공화당의 반대에 얼마나 시간이 지체될지 알 수 없습니다. 인프라 법안의 자금조달은 법인세를 28%인상하는 것이기 때문에 세금상승에 따라 기업의 이익이 감소하는 우려도 포함됩니다.

모든 노이즈는 노이즈일 뿐입니다. 시장은 궁극적으로 실적을 따라가게 되어있고 실적이 좋다면 주가역시 좋을 것입니다.

1분기 EPS 결과와 2021년 EPS 추정치에 대한 글입니다. 꼭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https://in.naverpp.com/usstock/challenge/292121468751200/292121299303584

 

미국주식, S&P 500 1분기 & 2021 EPS 전망

2021 1분기 EPS의 컨센서스는 계속해서 올라갔습니다. 3개월 동안 EPS의 추정치는 6%로 점진적으로 상향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 분기의 EPS를 예상하고 추적관찰하면 마지막 분기 결과값으로

in.naverpp.com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미국증시, S&P500 4000p시대 아직도 계좌가 안좋다고 느낀다면.. 04/01 미국주식
728x90
반응형

S&P 500은 지난 목요일 조 바이든 대통령의 인프라 계획이 발표 된 후 4,000을 넘어 섰습니다. 고점이라는 말에도 계속해서 신고가를 경신하는 미국증시를 투자하지 않는다면 기회를 잃어버리는 건 아닐지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S&P500 1.18%가 올라 4019.98포인트, 다우지수 +0.52%, 나스닥 +1.76%로 마감했습니다.

 

미국 증시는 전반적으로 인프라 법안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마감했습니다. 빅테크와 반도체, 금융이 가장 많이 상승했고 에너지섹터 역시 2.5%상승하는 등 인프라 법안에 대한 기대감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제 발표된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치보다 더 많이 나와 시장이 흔들릴 것 같았지만 아예 무시하고 선물부터 계속해서 상승했습니다. 예상치 68.3만건에서 발표치 71만건으로 다시 70만건으로 올라갔지만 시장은 다음날 나올 고용지표에 더욱 관심이 많아보였습니다.

Piper Sandler의 전략가 Craig Johnson은 “미국 경제의 재개는 코로나 바이러스 터널 끝의 빛이 가까워짐에 따라 주식 시장을 계속 지원하고 있습니다. ”재정 및 통화 정책 지원은 이 시기에 전례없이 시장에 잘 전달되고 있습니다.”

10 년물 국채 수익률은 목요일 약 1.68 %로 7 베이시스 포인트 하락했습니다. 1.7%를 넘어 최고수준의 국채금리에서 조금 낮아져서 나스닥의 상승에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바이든이 수요일에 발표 한 계획에는 8년 동안 약 2조 달러의 지출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법인 세율을 28 %로 인상 할 것입니다.

바이든 인프라 법안 내용은 여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스트리트의 일부는 세금 인상이 기업 수익과 주가의 반등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습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주식 전략가인 Savita Subramanian은 시장이 계획에 포함 된 세금 인상을 소화해야 할 필요가있어 주식에 대한 잠재적 역풍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와 웨스턴 디지털은 일본 반도체 회사 인 키옥시아 를 약 300 억 달러에 인수하는 거래를 모색하고 있다고 전해졌습니다. 마이크론 주가는 호실적과 더불어 4.7% 올랐고 웨스턴 디지털은 6.9% 올랐습니다.

월스트리트는 3월을 상승으로 마무리했습니다. 지난달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가 각각 6.6%, 4.3% 상승 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리 상승으로 기술 주가 압박을 받으면서 나스닥은 3 월에 0.4% 상승했습니다.

읽어보면 좋은 기사(구글번역기로 돌려서라도 읽어보세요)

https://www.cnbc.com/2021/04/01/manufacturing-boom-brings-more-signs-that-inflation-is-building-rapidly.html

 

Manufacturing boom brings more signs that inflation is building rapidly

March brought the strongest manufacturing growth in more than 37 years, and with it increasing indications about inflation pressures

www.cnbc.com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미국증시, 바이든 2조달러 인프라법안 발표 03/31 나스닥 뉴욕증시
728x90
반응형

미국 증시는 기술주의 상승, 특히 빅테크들이 상승마감했습니다. 빅테크와 반도체가 주도했던 어제 하루라고 볼 수 있는데 최근 못갔던 종목이 오르고 올랐던 종목이 좀 빠졌다고 보면 맞을 것 같습니다.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법안 발표가 기대감을 불어넣어주고 반면 금리에 대한 영향은 조금 낮아지지않았나 생각합니다.

S&P500 0.36%, Dow 30 -0.26%, Nasdaq 1.54% 상승 마감했습니다.

 

Sevens Report의 창립자인 Tom Essaye는 “경제 부양책은 더 이상 시장의 눈에 100 % 만족이 없습니다. “그것은 1) 높은 국채그므리, 2) 상승하는 인플레이션 기대 그리고 3)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믿음(테이퍼링 실행 가능성)을 훼손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부양책과 더불어 개인, 기업 및 투자에 대한 세금 인상은 코로나 피해를 상쇄하고 회복하는 데 사용됩니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14 개월 최고치인 1.77%를 기록한 후 수요일 1.73%로 거래되었습니다 . 강력한 Covid-19 백신 출시와 광범위한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로 올해 채권 수익률이 상승했습니다.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10년 국채 범위는 2.0% ~ 2.5% 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Hololens를 미 국방부에 10년간 219억달러 규모의 계약을 성사시켰다고 발표했습니다. AR/VR대장주를 애플과 페이스북으로 생각하고있었는데 마이크로소프트가 한 번 치고 나갔습니다.

https://www.cnbc.com/2021/03/31/microsoft-wins-contract-to-make-modified-hololens-for-us-army.html

 

Microsoft wins U.S. Army contract for augmented reality headsets, worth up to $21.9 billion over 10 years

The Army HoloLens deal comes a year and a half after Microsoft received a cloud contract from the Pentagon, which Amazon has been challenging in federal court.

www.cnbc.com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법안 정리

- 교량, 도로, 대중 교통, 항구, 공항 및 전기 자동차 개발과 같은 교통 인프라에 6,120억 달러

- 노인 및 장애인 돌봄 등 4,000억 달러

- 식수 인프라 개선, 광대역 액세스 확대 및 전력망 업그레이드 3,000억 달러

- 학교 건설 및 업그레이드와 함께 저렴한 주택 건설 및 개조에 3 천억 달러

- 미국 제조, 연구 개발 및 직업 훈련 5,800억 달러

Biden은 법인 세율을 28%로 인상하여 지출 자금을 조달 할 계획입니다. 공화당은 2017년 법인세를 35%에서 21%로 삭감했습니다.

행정부는 또한 다국적 기업에 대한 글로벌 최소 세금을 높이고 모든 국가에서 최소 21%의 세금을 납부하도록 보장하기를 원합니다. 백악관은 기업이 조세 피난처를 주소로 나열하고 다른 개혁 중에서도 오프쇼어링과 관련된 비용을 기록하지 않도록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민주당은 이번 여름에 이 패키지를 통과하려고합니다.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은 7월 4일까지 통과되기를 원한다고 민주당 전당 대회에 말했다고합니다. 사적으로 발언을했기 때문에 정확한 마감일이 아닙니다.

인프라 법안에 관련된 투자아이디어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in.naverpp.com/usstock/challenge/290356378155488/290356281994432

 

미국주식, 바이든의 2조 달러 인프라 법안 관련 주식투자 고민(개별종목과 ETF)

최근 금리도 그렇고 헤지펀드의 마진콜로 인한 시장 충격으로 힘든 시기입니다. 이제 글 쓰는 시점으로 며칠 뒤면 바이든이 피츠버그에서 인프라 법안 관련 연설을 하게 되는데 거기에 관련된

in.naverpp.com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