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헤지 전략, 버퍼 ETF에 대해서
728x90
반응형

오늘 소개해드릴 리스크 헤지 전략 ETF는 버퍼 ETF입니다. 버퍼ETF라는 것이 ETF명칭은 아니고 파생상품 중 하나입니다.

버퍼 ETF는 주로 S&P500을 기초지수로 삼아 만들어지는데 기본적으로 기초 지수인 S&P500의 수익률을 따라서 움직이게 됩니다. 이익도 나고 손실도 나는 것인데 버퍼ETF만의 특징으로 헤지전략, 변동성을 줄이는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지수의 상하의 움직임에 따라 버퍼, 캡이라고 불리는 상하한선을 정해놓게 되는데 위든 아래든 정해진 지수 만큼의 수익, 손실을 유지하는 전략입니다.

미국의 ETF운용사 Innovator가 운용하는 버퍼 ETF시리즈가 있습니다. 여러 Buffer ETF 중 Innovator S&P 500 Buffer ETF (BJAN), Innovator S&P 500 Power Buffer ETF (PJAN), Innovator S&P 500 Ultra Buffer ETF (UJAN)에 대해 살펴보면 이들 ETF들은 S&P 500지수가 각각 9%, 15%, 30% 하락할 때까지 손실을 보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시장에는 다양한 버퍼 상품이 상장되어있고 월물별로 ETF가 존재합니다. 만기가 존재하는 상품이니만큼 장기적으로 가져가는 것은 무리가 있고, 최대 11개월 정도의 시간동안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이번 코로나 하락장에서 버퍼ETF를 매수했다면 울트라 버퍼의 경우 약 8%정도의 손실만을 입었을 것입니다.

파생상품 특히 옵션으로 이루어진 상품이다보니 수수료가 0.8%로 싼편은 아닙니다. 하지만 확실하게 손실을 방어할 수 있는 상품에 0.8%정도의 수수료를 부담하는 것은 나쁜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버퍼 ETF에 대해서 설명을 자세히 하면 풋옵션거래 부터 설명을 해야하는 점이 있어서 간단하게 설명을 하지만 만약 이런 ETF를 매수하실 생각이시라면 간단하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특정 손실률까지는 손해가 나지 않지만 그 아래로 내려가면 손실이 발생된다는 점. 보통 버퍼는 9%, 15% 30%의 손실로 정해져있습니다. 버퍼가 작을수록 캡은 커지게 됩니다.

버퍼 ETF의 수익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한 예를 한번 들어보면

만약 9월 초에 BAPR을 매수한 투자자라면 어느 정도의 이익과 손실을 기대할 수 있을까? 금년 4월 말 이후 현재까지 S&P 500지수는 2% 하락한 상태이다. 그렇다면 이 투자자는 이제 내년 4월 말까지 7%의 손실까지는 보호받을 수 있고 대신 최대 12% 내외의 수익까지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버퍼 ETF는 어떤 식으로 운용되기에 손익의 상단과 하단을 제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소 복잡한 금융공학적 설계가 도입되어 있어서 개인이 알기에는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저역시 전부 이해는 못했습니다.

검색을 좀 해본 결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Buffer ETF는 주식과 옵션의 합성파생구조다. 일단 기초지수가 되는 S&P 500지수를 매수한다. 그리고 S&P 500지수 콜옵션을 매도하고 마지막으로 풋 스프레드를 매수한다. 풋 스프레드란 내가격 풋옵션을 매수하고 외가격 풋옵션을 매도하는 형태로 주가지수가 특정 레벨까지 하락할 때는 이익이 확대되지만 그 이하로 하락해버리면 이익증가가 멈추는 구조 정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인플루언서 꼬마버핏

▶▷▶ 팬하기 ◀◁◀

꼭 눌러주세요!!

키움증권 계좌개설 4만원 혜택

함께보면 좋은 글

1. 연금저축 시리즈

연금저축 백테스팅

연금저축 배당 ETF로 하기

꼬마버핏의 연금저축 포트폴리오

2. 주식투자 철학

주식투자로 돈버는 단순한 방법

성공하기 쉬운 투자 방법

해외주식 투자전략

워렌버핏이 말하는 평범한 투자자가 성공하는 방법

3. 투자아이디어

반려동물 산업 투자하기

해외 명품기업 ETF로 투자하기

5G ETF(FIVG) 투자하기

테슬라 총정리 꿈과 희망

4. 배당투자

배당투자가이드 - 입문편

50년간 배당을 올린 배당킹 기업 28개

배당귀족에 투자하기 - NOBL

728x90
반응형

'미국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17일 미국주식 마감시황  (0) 2020.07.18
밀레니얼,Z세대를 위한 ETF투자  (0) 2020.07.17
헤지 전략 ETF - TAIL  (0) 2020.07.16
7월 15일 미국주식 시황  (0) 2020.07.16
7월 14일 미국증시 시황  (0) 2020.07.15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