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면 상승으로 위험에 처한 나라는 어디일까?
728x90
반응형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위험한 나라

올 여름 파키스탄 전역에서 발생한 엄청난 홍수로 1,4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파키스탄의 1/3이 물에 잠겼습니다.

파키스탄의 문제는 다른 나라에서는 안생길까라는 생각이 들게 마련이고 그러면 어떤 국가와 그 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홍수의 위험에 가장 취약할까?

네이처에 게재된 최근 연구에서는 18억 1천만 명의 사람들이 홍수에 직접 노출되어 있다고 발표했다.

수위 상승으로 가장 위험한 아시아 국가들

현재에도 지표면이 해수면보다 낮은 국가들은 위험한 나라인데 어떤나라가 있을까? 네덜란드와 방글라데시는 각각 59%와 58%로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홍수로 위험에 처한 유일한 국가다. 나머지 5개국은 베트남(46%), 이집트(41%), 미얀마(40%) 순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 외에, 위험 인구 비율 상위 20개국에 속한 유럽 국가는 오스트리아(18위 29%)와 알바니아(20위 28%) 두 나라뿐이다.

순위
나라
홍수 위험인구(%)
총 노출 인구
1
네덜란드
58.7%
10,100,000
2
방글라데시
57.5%
94,424,000
3
베트남
46.0%
45,504,000
4
이집트
40.5%
38,871,000
5
미얀마
39.9%
19,104,000
6
라오스
39.7%
2,985,000
7
캄보디아
38.1%
7,431,000
8
가이아나
37.9%
276,000
9
수리남
37.7%
233,000
10
이라크
36.8%
16,350,000
11
태국
33.9%
25,431,000
12
남수단
32.5%
5,437,000
13
파키스탄
31.1%
71,786,000
14
네팔
29.4%
11,993,000
15
콩고 공화국
29.3%
1,170,000
16
필리핀
29.0%
30,483,000
17
일본
28.7%
36,060,000
18
오스트리아
27.8%
2,437,000
19
인도
27.7%
389,816,000
20
알바니아
27.6%
771,000
21
중국
27.5%
394,826,000
22
차드
27.4%
4,547,000
23
인도네시아
27.0%
75,696,000
24
크로아티아
26.9%
1,094,000
25
슬로바키아
26.7%
1,401,000

홍수에 노출된 세계 인구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는 동남아시아 지역만 해도 12억4천만 명에 이른다.

중국과 인도가 각각 3억9500만 명과 3억9000만 명으로 수위 상승 위험 인구면에서 1위다. 인구 순위 상위 5개국은 방글라데시(9천400만 명), 인도네시아(7천600만 명), 파키스탄(7천200만 명)이다.

홍수가 파키스탄과 같은 나라에 미치는 영향

예측된 기후와 자연재해가 나타나기까지 몇 년이 걸릴 수 있지만, 2021년에는 홍수가 1억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최근 파키스탄의 여름 홍수는 2022년에도 그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파키스탄은 특히 인구의 31%(7200만명)가 홍수의 위험에 처해 있어 취약하다.

2010년 파키스탄의 홍수는 18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되었다. 6월에 시작된 최근의 홍수는 나라의 3분의 1 이상이 물에 잠겼기 때문에 3,3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와 미래의 홍수로 인한 비용

홍수로 인한 가장 큰 우려는 인구 증가이지만 막대한 경제적 비용도 동반한다. 지난해 가뭄, 홍수, 폭풍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총 2,242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는데, 이는 2001-2020년 연평균 1,178억 달러의 거의 두 배다.

최근 (가뭄, 홍수 및 폭풍으로 인해 야기된) 물로 인한 위험이 2050년까지 세계 GDP의 5조 6천억 달러를 감소 시킬 수 있으며, 홍수는 이러한 직접적인 손실의 36%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홍수로 인한 인적, 경제적 손실이 계속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 각국은 이미 영향을 받고 홍수의 위험이 가장 큰 생태계와 지역사회에 대한 예방 인프라와 복구 솔루션이 필요하다.

728x90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