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의 풀필먼트 전략 (NFA)의 확장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한국도 풀필먼트 전략이 이커머스 주도권 싸움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이미 미국 시장은 아마존이 FBA (풀필먼트 By 아마존)을 통해 이커머스 시장과 앞단의 검색 광고 시장도 빠르게 잠식 (2021년 미국 검색 광고 점유율 구글 57% vs. 아마존 19%) 중입니다 심지어 아마존 풀필먼트는 최근 쇼피파이의 경쟁사 중 하나인 빅커머스 (BIGC US)와 풀필먼트 파트너쉽도 구축했는데 이는 FBA의 시장 지배력를 극대화하고 경쟁사를 견제하는 전략이라고 판단합니다 이처럼 풀필먼트는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에서 플랫폼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핵심 이유입니다. 소비자에게는 다양한 구매 고려 요소 (ex. 가격, SKU, 정..
미 증시는 추가 부양책 통과에 따른 주식시장으로의 유동성 공급 기대에 힘입어 상승. 특히 금리가 부양책 통과와 국채입찰에서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안정을 보이자 기술주 중심의 강세가 뚜렷한 모습. 더불어 ECB 통화정책 회의에서 라가르드 총재가 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채권 매입 속도를 조절하겠다고 언급한 점도 금리 안정에 영향을 주며 나스닥 상승을 이끔(다우 +0.58%, 나스닥 +2.52%, S&P500 +1.04%, 러셀 2000 +2.31%) 미 의회가 1.9 조 달러 규모의 추가 부양책 관련 입법을 마무리 하고 바이든 대통령도 이날 서명하자 주식시장은 상승. 시장은 공화당과 합의를 통해 1 조달러~1.2 조 달러 규모를 예상했으나 금액이 커진 만큼 유동성 유입에 우호적인 영향을 줄 ..
2020 Disruptor들의 신생 기업은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이버 보안, 교육, 건강, IT, 물류/배달, 핀테크 및 농업 등 아이디어를 새로운 10억 달러 규모의 유니콘 기업으로 거듭납니다. Disruptor란? 전통적인 산업의 틀을 깨고 파괴적이고 혁신적으로 시장을 개척해나가는 기업 이미 Disruptor 기업들은 10억달러 이상의 가치를 지닌 유니콘 기업들이 많이 있습니다. 50개 기업 중 36개 기업이 10억달러를 이미 넘었거나 도달했습니다. 이들 기업 중에는 코로나가 확산되고 나서 신규 직원을 채용한 기업이 37곳이나 됩니다. 1 Stripe 글로벌 핀테크(페이팔과 비슷한 사업) 2 Coupang 한국의 아마존 3 Indigo Ag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