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는 중국의 코로나 재 확산에 따른 봉쇄 이슈가 부각되자 하락. 여기에 달러화 강세가 확대됨에 따라 해외 매출이 많은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 되었으며 테슬라(-6.55%) 등 개별 종목의 영향으로 나스닥이 2% 넘게 하락. 여기에 러시아가 천연가스 공급 및 감축 발표하자 유로존 경제 우려도 부담. 다만, 경기 방어주는 견고해 다우지수는 하락이 제한 되는 등 차별화 진행(다우 -0.52%, 나스닥 -2.26%, S&P 500 -1.15%, 러셀 2000 -2.11%)
▲달러 인덱스가 108을 기록하며 달러 초강세 기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달러가 강해지는 만큼 수출 비중이 많은 미국 기업들의 실적 악화가 전망됩니다. 달러인덱스 기준으로 8~10%가량 환 손실이 발생할 것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djM1v/btrG24gFvpF/fvfM9YgwCIXk5bFYJ5lKDK/img.png)
달러 약세의 원인 중 하나인 유로화는 1유로당 1달러를 간당간당하게 유지하고 있는데 언제든지 깨져도 이상하지 않은 수준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XLpMh/btrG2s3aBV3/aUH9YMUk07yiYj9XnM3ToK/img.png)
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면서 유로존의 인플레이션 통제가 힘들어질 것으로 보이기에 환율시장에서 달러로의 움직임이 계속되는 것입니다.
게다가 엔화 역시 약세를 이어가고 있어서 달러가 약해지기는 당분간 쉽지 않아 보입니다. 달러가 강해지는 만큼 한국의 원화 역시 계속해서 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역외환율은 1311원으로 마감되어서 1310원 이상에서 거래를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카오 정부의 봉쇄 발표는 윈 리조트 등 카지노 업종의 약세를 부추겼으며, 글로벌 코로나 재 확산 우려가 부각되자 부킹닷컴 등 여행주, 카니발 등 크루즈 업종, 아메리칸 에어라인 등 항공주도 부진.
▲이번 주 본격적인 실적시즌에 들어가게 되는데 목요일 JP 모건 등을 시작으로 금융주가 실적을 발표합니다. 금융주들은 지난 1분기 14억 달러에서 2분기에는 45억 달러로 대손 충당금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전반적인 실적은 위축될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정상화에 따른 대출 급증에 맞물려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준비금을 늘려야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인데 그렇지만 시장 일각에서는 고 용이 견고했기 때문에 대출 증가와 낮은 대출 손실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이를 감안 금융주가 예상보다 강한 이익 성장세를 보일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7월 11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 애플(AAPL): Monness, Crespi, Hardt는 경제활동 재개와 공급체인 차질 심화, 경기둔화 전망 등이 애플에 악재가 된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으나 목표주가를 199달러에서 174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트위터(TWTR): Wedbush는 테슬라(TSLA) 머스크 CEO가 동사 인수 계획을 철회하면서 트위터의 전망이 매우 불투명해졌다고 지적했다.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43달러에서 3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레스토랑 브랜즈 인터내셔널(QSR): 파이퍼샌들러는 소비 패턴 변화 과정에서 동사가 점유율을 상실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60달러에서 52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매치 그룹(MTCH): KeyBanc는 환손실 발생과 Key First Look Data에서의 사용량 감소 상황 등을 근거로 목표주가를 125달러에서 90달러로하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비중확대를 유지했다.
▲ 제이피모간 체이스(JPM): 제프리스는 은행 섹터의 실적발표를 앞두고, 금리 상승과 대출 증가율 개선 등이 나타나고 있으나 순이자이익(NII) 증가세는 곧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투자의견 보유를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는 137달러에서 126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듀오링고(DUOL): KeyBanc는 매크로 악재에 따른 소비 패턴 변화 상황을 분석했을 때, 동사 주가가 이미 연초 대비 5% 상승하면서 outperform하고 있어 추가적인 상승여력을 기대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중립으로 하향했다.
◆ 미국 증시
- DOW: 31,173.84p (-164.31p, -0.52%)
- S&P500: 3,854.43p (-44.95p, -1.15%)
- NASDAQ: 11,372.60p (-262.71p, -2.26%)
- 러셀2000: 1,732.01p (-37.36p, -2.11%)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6.63 (-1.67, -2.86%)
- MSCI 이머징지수 ETF: $39.02 (-1.07, -2.67%)
- Eurex kospi 200: 308.10p (-1p, -0.32%)
- NDF 환율(1개월물): 1,311.45원 / 전일 대비 7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2,553.69 (-64.33, -2.46%)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8.173 (+1.166, +1.09%)
- 유로/달러: 1.0043 (-0.0142, -1.39%)
- 달러/엔: 137.44 (+1.34, +0.98%)
- 파운드/달러: 1.1896 (-0.0137, -1.14%)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3.0738% (-3.1bp)
- 5년물: 3.0535% (-7.0bp)
- 10년물: 2.9928% (-8.8bp)
- 30년물: 3.1736% (-7.0bp)
- 10Y-2Y: -8.10bp (-5.66bp)
(국채선물)
- 2YR T-Notes: 104*25 (+0*04 1/2, +0.13%)
- 5YR T-Notes: 112*02 1/4 (+0*13 1/2, +0.38%)
- 10YR T-Notes: 118*12 (+0*25 , +0.66%)
- US T-Bonds: 138*23 (+1*29 , +1.39%)
- Ultra US T-Bonds: 152*20 (+2*24 , +1.83%)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104.09 (-1.34, -1.28%)
- 브렌트유: 107.10 (-0.56, -0.52%)
- 금: 1,731.70 (-11.30, -0.65%)
- 은: 19.13 (-0.21, -1.07%)
- 아연(LME, 3M): 3,042.00 (-57.00, -1.84%)
- 구리: 343.05 (-9.50, -2.70%)
- 옥수수: 629.00 (+3.50, +0.56%)
- 밀: 856.50 (-36.25, -4.07%)
- 대두: 1,405.00 (+6.25, +0.45%)
'미국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시황, 1981년 이후 물가 최대폭 상승 CPI 9.1%... 07. 13 (0) | 2022.07.14 |
---|---|
미국증시 시황, 물가지수와 실적시즌 앞두고 소폭 하락 07. 12 (0) | 2022.07.13 |
미국증시 시황, 호재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상승 07. 07 (0) | 2022.07.08 |
미국증시 시황, FOMC 의사록 공개와 달러 초강세 지속 07. 06 (0) | 2022.07.07 |
지난 주 미국주식 요약 정리 (1)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