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는 전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와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에 대한 기대 심리가 유입돼 상승하기도 했지만, 유럽 경기 침체 이슈와 MS(-4.10%)의 하락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종을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전환. 특히 장 후반 강달러에 따른 실적 부진 우려가 부각된 기술주의 낙폭이 확대되는 등 실적에 주목하며 하락 마감(다우 -0.62%, 나스닥 -0.95%, S&P500 -0.92%, 러셀2000 -0.22%)
서비스나우의 CEO가 글로벌 테크기업들이 강달러에 의해 실적이 발목 잡힐 것이라 언급하면서 테크와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주가가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환율의 영향이 10 ~ 12%가량 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2분기는 물론 3분기까지 실적 전망이 어두워진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dkSjps/btrG8XnXGi0/CtdNN9ASMorNMIbe9wnZLk/img.png)
마이크로소프트도 주가가 크게 하락했는데 위의 이슈와 더불어 인력감축을 시행했다고 밝혔다. 감원 규모는 회사 총 인원의 1%미만으로 마이크로소프트는 18만여명을 고용하고있다. 거시경제가 위축되고 있어 기업들의 IT 예산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MS 실적 둔화 가능성이 현실화 될 수 있다고 전망되고 비록 다른 소프트웨어 업체들에 비해 매크로 환경에서 자유롭기는 하지만 실적 하향 조정은 불가피하다.
아메리칸 에어라인은 가이던스 업데이트 이후 급등했으며 델타항공, 사우스웨스트항공 등 항공주도 실적 기대 속 강세. 보잉은 2분기 항공기 인도 호조 소식에 실적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며 급등.
국제유가는 상하이에서 전염성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가 발생하자 봉쇄 우려가 높아진 여파로 급락. 여기에 OPEC 원유시장 보고서에서 2023년 원유 수요 증가가 하루 270만 배럴에 그쳐 올해 340만 배럴 증가에 비해 둔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 점도 급락 요인. 이런 가운데 EIA가 단기 에너지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WTI 평균 가격을 이전 수치에서 3.6% 하향 조정한 점도 영향
곡물은 미 농무 부가 옥수수 공급 전망을 상향 조정하고 수요 전망은 하향 조정하자 급락. 특히 미 농무부는 주요 작황지에 비가 내려 재배가 지연되었으나 봄에 예상했던 파종 면적을 상향
7월 12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 넷플릭스(NFLX): 모간스탠리는 가입자 증가폭이나 이익률 등이 컨센서스를 하회할 수 있다고 분석했으며, 매크로 불확실성 속에 소비자들의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도 축소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투자의견 시장비중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300달러에서 22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젯블루 에어웨이스(JBLU): Susquehanna는 '16년 이후 비용 관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저가항공사 중에서 분명한 이익률 우위를 누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투자의견을 긍정적 전망에서 중립으로 하향했고, 목표주가도 14달러에서 9달러로 하향했다.
▲ 유니언 퍼시픽(UNP): 제이피모간체이스는 인력 부족 문제, 미국 서해안 항구 혼잡 문제 등이 실적성장세를 크게 제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중립으로, 목표주가를 272달러에서 232달러로 하향했다.
▲ 앱티브(APTV), 비스티언(VC): 씨티는 자동차 부품 섹터를 조사한 결과, 2분기 어닝시즌에서 앱티브에 대한 비중확대와 비스티언에 대한 비중축소가 효과적인 페어 트레이드가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 체크포인트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CHKP): Wedbush는 다양한 매크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사이버보안 수요 증가세는 견고하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과 목표주가 145달러를 유지했고, Best Ideas 종목으로 선정했다.
▲ 레나(LEN): 제이피모간체이스는 주택건설 섹터의 전망이 밝지 않다고 언급했으며, 이번 어닝시즌에서 추가적인 악재가 드러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중립으로, 목표주가를 83달러에서 82달러로 하향했다.
◆ 미국 증시
- DOW: 30,981.33p (-192.51p, -0.62%)
- S&P500: 3,818.79p (-35.64p, -0.92%)
- NASDAQ: 11,264.73p (-107.87p, -0.95%)
- 러셀2000: 1,728.18p (-3.83p, -0.22%)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6.58 (-0.05, -0.09%)
- MSCI 이머징지수 ETF: $38.87 (-0.15, -0.38%)
- Eurex kospi 200: 306.90p (+1.35p, 0.44%)
- NDF 환율(1개월물): 1,306.74원 / 전일 대비 7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2,558.17 (+4.49, +0.18%)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8.175 (+0.154, +0.14%)
- 유로/달러: 1.0034 (-0.0006, -0.06%)
- 달러/엔: 136.84 (-0.60, -0.44%)
- 파운드/달러: 1.1886 (-0.0006, -0.05%)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3.0450% (-2.7bp)
- 5년물: 3.0212% (-3.4bp)
- 10년물: 2.9780% (-1.5bp)
- 30년물: 3.1635% (-1.1bp)
- 10Y-2Y: -6.70bp (+1.20bp)
(국채선물)
- 2YR T-Notes: 104*27 (+0*02 , +0.06%)
- 5YR T-Notes: 112*07 1/4 (+0*05 1/4, +0.15%)
- 10YR T-Notes: 118*21 (+0*08 1/2, +0.22%)
- US T-Bonds: 139*11 (+0*13 , +0.29%)
- Ultra US T-Bonds: 153*28 (+0*26 , +0.53%)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95.84 (-8.43, -8.10%)
- 브렌트유: 99.49 (-7.98, -7.45%)
- 금: 1,724.80 (-8.20, -0.47%)
- 은: 18.96 (-0.27, -1.42%)
- 아연(LME, 3M): 3,016.00 (-26.00, -0.85%)
- 구리: 328.80 (-17.10, -4.98%)
- 옥수수: 586.50 (-42.50, -6.76%)
- 밀: 814.25 (-45.00, -5.25%)
- 대두: 1,343.00 (-64.25, -4.57%)
'미국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시황, 금융주의 부진한 실적 하지만 TSMC 호실적에 반도체 상승 07. 14 (0) | 2022.07.15 |
---|---|
미국증시 시황, 1981년 이후 물가 최대폭 상승 CPI 9.1%... 07. 13 (0) | 2022.07.14 |
미국증시 시황 07. 11 달러강세에 따른 실적악화 우려 (0) | 2022.07.12 |
미국증시 시황, 호재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상승 07. 07 (0) | 2022.07.08 |
미국증시 시황, FOMC 의사록 공개와 달러 초강세 지속 07. 06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