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는 높은 수준의 소비자 물가지수 결과가 발표되었으나 이를 토대로 ‘인플레 피크아웃’ 이슈가 부각되며 상승 출발. 특히 국채 금리가 하락하자 나스닥은 장중 한 때 2% 넘게 급등. 그렇지만, 높은 수준의 물가는 지속돼 연준의 공격적인 통화정책은 유지된다는 점이 부각되자 상승분을 반납. 이런 가운데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러시아의 화학 무기 사용 관련 발언 후 하락 전환하는 등 우크라이나 이슈가 지속적인 영향(다우 -0.26%, 나스닥 -0.30%, S&P500 -0.34%, 러셀2000 +0.33%)
3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8.5% 급등해 예상보다 소폭 상승했으며 1981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한편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Core CPI는 예상보다 적게 상승했고 3월에는 0.3% 상승했으며 0.5%의 상승을 예상했다. 전월대비 크게 상승한 물가 항목은 에너지와 운송서비스다. 중고차 가격은 전월대비 3.8% 감소하면서 중고차 수요에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가격이 상승하거나 하락한 항목들이 모두 유가와 관련이 있는 만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인플레이션을 밀어올리는 것이 분명하다.


높은 인플레이션 수치는 긴축 우려를 불러왔고 연준의 빅스텝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폭시켰다.
제러미 시겔 교수는 연준이 최소한 50 베이시스 포인트 인상 몇번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늦추려면 금리가 3%를 넘어야 하는데 쉽지 않은 길을 가게 될 것이고 앞으로 수개월 동안 인플레이션 상승이 계속될 것이다.
CPI가 발표된 이후 주가가 상승했다가 하락마감 한 이유는 유가의 급등에 있다. 중국이 상하이 봉쇄를 완화하면서 수요 둔화 우려가 줄어들었고 WTI와 브렌트유 모두 6%대 상승을 했다. OPEC 역시 회원국들이 러시아 생산량을 대체하기에는 무리라며 증산계획을 사실상 포기하면서 공급의 증가 역시 기대하기 어려워진 상태이다.
4월 12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 맥도날드(MCD): 씨티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의 영업 마비가 현재 주가에 적절하게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으며,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수요 악화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투자의견 중립을 제시했고, 목표주가를 260달러에서 27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페라리(RACE): Exane BNP Paribas는 '25년까지 85%의 강력한 이익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모멘텀 종목이라고 강조했으며, 인플레이션이 우려 요인이 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outperform으로 상향했고, 목표주가는 255유로로 제시했다.
▲ 팰로 앨토 네트웍스(PANW): 골드만삭스는 사이버보안 시장 성장세가 예상했던 것보다 견고하다고 언급하면서, 강력한 수요를 강조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650달러에서 7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AT&T(T): 씨티는 WarnerMedia 분사 이후 잔류기업 AT&T에 대해 목표주가를 22달러로 제시했다. 분사 전 목표주가는 28달러였다. 또한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 로스 컴퍼니스(LOW): Loop Capital은 DIY 수요가 약화되고 있고, 인플레이션에 따른 이익률 하방압력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투자의견 보유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240달러에서 19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도미노 피자(DPZ): 씨티는 각지에서의 배달 소요 시간 상황 등을 분석한 결과, 인력난이 크게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으며, 월가전반적으로 동사에 대한 자신감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하고, 목표주가를 480달러에서 487달러로 상향했다.
◆ 미국 증시
- DOW: 34,220.36p (-87.72p, -0.26%)
- S&P500: 4,397.45p (-15.08p, -0.34%)
- NASDAQ: 13,371.57p (-40.39p, -0.30%)
- 러셀2000: 1,986.94p (+6.61p, +0.33%)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8.52 (+0.14, +0.20%)
- MSCI 이머징지수 ETF: $44.23 (-0.14, -0.32%)
- 필라델피아 반도체: 3,047.47 (-7.62, -0.25%)
- Eurex kospi 200: 352.65p (0.00p, 0.00%)
- NDF 환율(1개월물): 1,228.83원 / 전일 대비 8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0.301 (+0.369, +0.37%)
- 유로/달러: 1.0828 (-0.0056, -0.51%)
- 달러/엔: 125.34 (-0.03, -0.02%)
- 파운드/달러: 1.3001 (-0.0029, -0.22%)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2.3746% (-12.3bp)
- 5년물: 2.6757% (-11.2bp)
- 10년물: 2.7194% (-6.1bp)
- 30년물: 2.8076% (-0.1bp)
- 스프레드(10Y-2Y): +34.48bp (+6.22bp)
(국채선물)
- 2YR T-Notes: 105*26 3/4 (+0*08 , +0.25%)
- 5YR T-Notes: 113*23 (+0*19 , +0.52%)
- 10YR T-Notes: 120*16 (+0*24 , +0.63%)
- US T-Bonds: 142*14 (+0*12 , +0.26%)
- Ultra US T-Bonds: 164*18 (-0*10 , -0.19%)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100.6 (+6.31, +6.69%)
- 브렌트유: 104.64 (+6.16, +6.26%)
- 천연가스: 6.72 (+0.08, +1.13%)
- 금: 1,976.10 (+27.9, +1.43%)
- 은: 25.735 (+0.748, +2.99%)
- 아연(LME, 3M): 4,376.00 (+86.0, +2.00%)
- 구리: 470.95 (+7.55, +1.63%)
- 옥수수: 772.5 (+13.75, +1.81%)
- 밀: 1112.5 (+23.5, +2.16%)
- 대두: 1,660.50 (+19.75, +1.2%)
- BDI: 2,031.00 (-24, -1.17%)
'미국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나스닥 인플레이션 피크아웃 이슈 약화로 2% 하락 (0) | 2022.04.15 |
---|---|
미국증시, 본격적인 실적 시즌이 시작되며 상승 확대 (0) | 2022.04.14 |
미국증시, 국채 금리 상승과 우크라이나 우려로 하락 지속 (0) | 2022.04.12 |
미국증시, 1분기 실적 시즌이 중요한 시점 (0) | 2022.04.09 |
미국증시, 실적 시즌 기대 속 반발 매수세 유입되며 상승 전환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