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는 영국 BOE가 금융안정 보고서를 통해 우크라이나 사태로 영국과 세계 경제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주장하자 ‘경기 침체’ 이슈로 2% 내외 하락 출발. 여기에 독일 등 유로존의 경기침체 우려로 유로화가 급락한 점도 투자 심리 위축 요인. 다만, 최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휴전 기대가 높아지고, 기술주 특히 클라우드 관련 긍정적인 소식에 힘입어 관련 종목이 강세를 보이자 나스닥은 상승 전환 후 상승폭 확대(다우 -0.42%, 나스닥 +1.75%, S&P500 +0.16%, 러셀2000 +0.79%)
지난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서방국가들의 대 러시아 제재에 따른 유럽 경제의 침체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 가운데 관련 우려가 부각되며 위험자산 선호심리를 크게 위축시켰습니다.
특히 이 여파로 유로화가 달러 대비 1.5% 내외 약세를 보이자 투자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기에 영국 BOE 총재는 글로벌 금융상황이 크게 악화되었다고 주장한데 이어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상품 시장의 추가 혼란, 위험자산의 급격한 조정 등의 우려가 있으며 이는 세계 및 영국 경제 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발표하자 파운드화도 달러 대비 1.3% 약세를 보인 점도 경기 침체 이슈를 키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gDxT9/btrGAS76Hud/t27pX1kj4iTPCcqq01BFG1/img.png)
유로/달러가 역사상 최저치로 하락하면서 환율부담이 가중되고있습니다. 달러 인덱스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유로화가 하락하면서 달러가 상승하고 다른 통화가 크게 하락하는 등 달러 강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달러인덱스는 106.3을 기록하면서 닷컴버블 이후 최고수준까지 상승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hE5B/btrGB3uxoeC/SzwmJTo7hkLcGrMiYINgG1/img.png)
대부분의 원자재가 하락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는 피크아웃하고 경기침체 이슈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의 경기침체 이슈가 강해 유로화도 약세로 돌아가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속히 끝나야 회복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iW3Ms/btrGx3iXZEt/3DlkO7RSJRf3Ez2TeBnNkK/img.png)
중요한 점은 원유가 100달러를 하회하면서 투기적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보여지는데 긍정적인 소식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락의 트리거를 경기침체로 한 만큼 추후에 경기침체 우려를 불식시키는 소식이 나오면 다시 상승할 수 있지만 유가가 빠르게 하락하면서 투기적 포지션이 정리된다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엔비디아는 메타플랫폼이 데이터 센터에 사용되는 GPU를 5배 늘리기를 원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상승했습니다.
7월 5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 애플(AAPL): 모간스탠리는 Sensor Tower 자료를 분석한 결과 6월 앱스토어 순매출 증가율이 2.5%로 전월 4.0%에서 하락했다고 밝혔다. 또한 FY22 3분기(4~6월) 앱스토어 성장률이 6%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와 목표주가 185달러를 유지했다.
▲ 쇼피파이(SHOP): 트루이스트파이낸셜은 연초 대비 주가가 77%나 하락하는 등 주가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으며, 수익성 또한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투자의견 보유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1:10 주식분할을 반영하여 35달러로 제시했다.
▲ 알리바바 그룹 홀딩(BABA): HSBC는 산하 금융 사업부 Ant Group의 대출 사업 규모가 기존 예상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언급했으며,해당 사업부의 실적 기여를 보수적으로 접근하겠다고 밝혔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지만 목표주가는 146달러에서 141달러로 하향했다.
▲ 이베이(EBAY): Baird는 이베이 사용량 자료 등을 분석했을 때,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저조한 실적이 발표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유럽의 전자상거래 이용 부진과 달러 강세에 따른 환손실 등을 악재로 꼽았다.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55달러에서 54달러로 하향했다.
▲ 콜스(KSS): Deutsche Bank는 프랜차이즈 그룹(FRG)와의 M&A가 파행되면서 동사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이는 매력적인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는 68달러에서 37달러로 하향했다.
▲ 시게이트 테크놀로지스(STX): Benchmark는 반도체, 메모리 섹터 전망이 악화되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이를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100달러에서 93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으며, Nearline 드라이브의 수요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 미국 증시
- DOW: 30,967.82p (-129.44p, -0.42%)
- S&P500: 3,831.39p (+6.06p, +0.16%)
- NASDAQ: 11,322.24p (+194.40p, +1.75%)
- 러셀2000: 1,741.33p (+13.57p, +0.79%)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7.00 (-0.40, -0.70%)
- MSCI 이머징지수 ETF: $39.54 (-0.31, -0.78%)
- Eurex kospi 200: 307.25p (-2.7p, -0.87%)
- NDF 환율(1개월물): 1,308.88원 / 전일 대비 8원 상승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2,477.64 (+19.19, +0.78%)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6.502 (+1.364, +1.30%)
- 유로/달러: 1.0264 (-0.0158, -1.52%)
- 달러/엔: 135.87 (+0.25, +0.18%)
- 파운드/달러: 1.1955 (-0.0163, -1.35%)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2.8245% (-0.8bp)
- 5년물: 2.8287% (-4.9bp)
- 10년물: 2.8291% (-5.1bp)
- 30년물: 3.0676% (-3.6bp)
(국채선물)
- 2YR T-Notes: 105*08 1/2 (+0*01 , +0.05%)
- 5YR T-Notes: 113*06 3/4 (+0*09 3/4, +0.27%)
- 10YR T-Notes: 119*29 1/2 (+0*16 , +0.42%)
- US T-Bonds: 141*05 (+1*12 , +0.99%)
- Ultra US T-Bonds: 156*17 (+1*18 , +1.01%)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99.50 (-8.86, -8.17%)
- 브렌트유: 102.77 (-10.59, -9.33%)
- 금: 1,763.90 (-35.30, -1.96%)
- 은: 19.12 (-0.50, -2.55%)
- 아연(LME, 3M): 2,992.00 (-126.00, -4.04%)
- 구리: 341.50 (-16.75, -4.65%)
- 옥수수: 578.50 (-29.50, -4.86%)
- 밀: 807.00 (-41.25, -4.88%)
- 대두: 1,316.00 (-75.25, -5.39%)
'미국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시황, FOMC 의사록 공개와 달러 초강세 지속 07. 06 (0) | 2022.07.07 |
---|---|
지난 주 미국주식 요약 정리 (1) | 2022.07.06 |
미국증시 시황, 50년만에 최악이었던 상반기를 보낸 서학개미들 06. 30 (0) | 2022.07.01 |
미국증시 시황, 경기침체 우려는 지속되나 방향성 없는 시장 06. 29 (0) | 2022.06.30 |
미국증시 시황, 부진한 경제지표로 경기침체 이슈 다시 부각되며 하락 06.28 (0) | 2022.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