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는 부진한 고용지표 등에도 불구하고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 심리가 유입되며 상승. 특히 전일 장 후반 낙폭을 확대했던 일부 기술주와 실적 호전을 발표한 기업들이 상승 주도. 그러나, 오후 들어 상원 법사위의 규제 관련 법률안 통과 소식에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 출회되고, 러시아에 대한 경고를 발표한 국무장관의 기자회견 이후 2% 넘게 상승했던 나스닥 등 미 증시는 하락 전환 후 낙폭 확대(다우 -0.89%, 나스닥 -1.30%, S&P500 -1.10%, 러셀2000 -1.88%)
S&P 500은 3주 연속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번주 다우는 3.3%, S&P500은 3.9%, 나스닥은 5% 하락했습니다. 어제부터 나스닥은 10%이상 조정받아 조정장에 진입했습니다. 오늘을 포함하면 12%가량 하락하여 조정장을 넘어 약세장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주당 순이익(EPS) $1.33으로 예상치 $0.82를 상회하였고 매출은 예상치 77억 1천만달러를 Beat했습니다. 넷플릭스 실적에서 가장 중요한 가입자 증가는 828만명으로 예상치 819만명보다 소폭 증가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UUncJ/btrrktuLMX5/5CZg8kpu98iMcJeGTKW3o1/img.png)
시장은 2021년 하반기로 연기된 많은 작품이 개봉하면서 소비자가 크게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가입자 증가 속도가 느려지면서 주가는 폭락했습니다.
2020년 4분기 넷플릭스는 850만명의 가입자가 늘었고 2021년 1분기 398만명이었습니다. 2022년 1분기 가입자 증가 가이던스를 250만명으로 제시하면서 주가 하락의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4Q21 영업이익 6.31억 달러(YoY -34%, 컨센서스 5.59억 달러 상회). 영업이익률 8.2%(3Q21 23.5%, 4Q20 14.4% 대비 낮은 수준). 회사는 4분기 대규모 콘텐츠 판매를 감안할 때 영업이익률이 하락이 예상되었다라면서 예상보다 약간 적은 콘텐츠 지출이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보다는 상회한 이유라고 했습니다. 4Q21 잉여현금흐름은 -5.69억 달러로 더 급격하게 감소하였는데 3Q21 -1.06억 달러, 4Q20 -2.84억 달러와 비교됩니다.
Intuitive Surgical은 실적이 예상보다 잘 나왔지만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15억 5천만 달러의 매출에 주당 1.30달러를 보고했습니다. 예상치는 주당 1.28달러, 매출 15억 2천만 달러였습니다.
1월 20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 엣시(ETSY): KeyBanc는 소비패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엣시의 장기 성장기회를 낙관했으며, 전분기 대비 사용량 증가가 충성도 높은 고객증가를 가리킨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을 섹터비중에서 비중확대로 상향하고 목표주가 200달러를 제시했다.
▲ 시스코 시스템스(CSCO): 제이피모간체이스는 성장주 전반이 매도세를 겪으면서 매력적인 투자진입점이 형성되고 보았으며, 공급체인 개선에서 주가 상승여력이 있다고 기대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70달러에서 69달러로 하향했다.
▲ 솔라에지 테크놀로지스(SEDG): 제이피모간체이스는 공급체인 차질, 지정학적 마찰, 보조금 축소 등으로 인하여 청정에너지 섹터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식고 있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했지만, 당분간 주가 변동성이 클 것이라고 보고 목표주가를 373달러에서 324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허츠 글로벌 홀딩스(HTZ): 바클레이즈는 렌털 자동차 기업들에 대한 실적 컨센서스 상향이 고점을 지났으며, 앞으로는 밸류에이션 확대가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28달러에서 26달러로 하향했다.
▲ 휴렛 패커드 엔터프라이즈(HPE): 모간스탠리는 클라우드 업무이전이 계속되면서 IT 인프라 하드웨어 기업들의 투자매력은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 시장비중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16달러에서 17달러로 상향했다.
▲ 플러그 파워(PLUG): 모간스탠리는 펀더멘털이 특별히 악화되지는 않았다고 언급하면서, 최근의 매도세가 매수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전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와 목표주가 65달러를 유지했다.
◆ 미국 증시
- DOW: 34,715.39p (-313.26p, -0.89%)
- S&P500: 4,482.73p (-50.03p, -1.10%)
- NASDAQ: 14,154.02p (-186.23p, -1.30%)
- 러셀2000: 2,024.04p (-38.75p, -1.88%)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75.47 (-0.36, -0.47%)
- MSCI 이머징지수 ETF: $49.72 (+0.29, +0.59%)
- 필라델피아 반도체: 3,494.75 (-117.44, -3.25%)
- Eurex kospi 200: 381.15p (+1.10p, +0.29%)
- NDF 환율(1개월물): 1,193.65원 / 전일 대비 1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5.821 (+0.311, +0.33%)
- 유로/달러: 1.131 (-0.0033, -0.29%)
- 달러/엔: 114.13 (-0.2, -0.17%)
- 파운드/달러: 1.3597 (-0.0015, -0.11%)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1.0372% (-2bp)
- 5년물: 1.5998% (-4.8bp)
- 10년물: 1.8147% (-5bp)
- 30년물: 2.1242% (-5.2bp)
- 스프레드(10Y-2Y): +77.75bp (-2.99bp)
(국채선물)
- 2YR T-Notes: 108*15 1/4 (-0*01 , -0.05%)
- 5YR T-Notes: 119*05 3/4 (-0*00 3/4, -0.02%)
- 10YR T-Notes: 127*22 1/2 (+0*01 , +0.02%)
- US T-Bonds: 154*15 (-0*03 , -0.06%)
- Ultra US T-Bonds: 187*19 (-0*04 , -0.07%)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85.55 (-0.25, -0.29%)
- 브렌트유: 88.38 (-0.06, -0.07%)
- 천연가스: 3.82 (-0.21, -5.31%)
- 금: 1,844.90 (-0.6, -0.03%)
- 은: 24.716 (+0.485, +2%)
- 아연(LME, 3M): 3,649.50 (+68.0, +1.90%)
- 구리: 458.25 (+11.25, +2.52%)
- 옥수수: 611 (+0.5, +0.08%)
- 대두: 1,425.75 (+34.5, +2.48%)
- BDI: 1,570.00 (-74, -4.5%)
'미국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마이크로소프트 실적발표 후 하락.. 엔비디아 ARM인수 포기가능성 01. 25 (0) | 2022.01.26 |
---|---|
미국증시 3대지수 급반등으로 시장 분위기 반전 01. 24 시황 (0) | 2022.01.25 |
미국증시 나스닥, 밸류에이션 부담 높은 종목 중심으로 하락 (0) | 2022.01.14 |
미국증시 높은 인플레 우려 불구 ‘피크 아웃’ 기대 속 상승 지속 01. 12 (1) | 2022.01.13 |
미국증시 파월 인사청문회에서 양적 긴축 연말에 시행 가능성 언급 01. 11 (0) | 2022.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