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는 전일 큰 폭의 낙폭 축소 여파로 일부 되돌림이 유입되며 하락 출발. 특히 미 상원의 러시아 제재 가능성 부각 등 여전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유입된 점이 부담. 더불어 FOMC를 앞두고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상품시장 상승으로 높은 인플레이션 부각된 점이 영향. 다만, 5년물 국채 입찰에서 수요 강도가 높아진 점, 실적 호전 발표 기업들이 상승하며 전일에 이어 낙폭을 크게 축소하거나 상승 전환(다우 -0.19%, 나스닥 -2.28%, S&P500 -1.22%, 러셀2000 -1.45%)
엔비디아가 ARM 인수 포기를 준비하고 있다고합니다. 최근 ARM의 대중화, 정치적 이슈등 인수가 거의 불가능해 보이긴 했습니다. ARM은 IPO로 방향을 잡을 것 같네요.
마이크로소프트 매출 517.3억달러 예상치 508.8억달러, EPS $2.48 예상치 $2.31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22% 성장, EPS는 21%성장
Azure 퍼블릭 클라우드, GitHub 및 Windows Server와 같은 서버 제품을 포함하는 Microsoft의 Intelligent Cloud 부문은 183억 3000만 달러의 매출을 창출하며 25.5%의 성장을 기록, Azure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은 46% 증가

General Electric — 4분기 매출 추정치를 하회한 후 주가 하락. 203억 달러의 매출과 92센트의 조정 주당 순이익을 보고했습니다. 예상치 215억 3천만 달러의 매출에 85센트. 회사는 공급망 문제가 판매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 4분기 매출 및 이익 추정치를 상회한 후 신용카드 주가 급등. 121억 5천만 달러의 매출과 주당 2.18달러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115억 달러의 매출에 주당 순이익 1.87달러를 예상했습니다. American Express는 또한 2022년에 18%에서 20%의 매출 성장을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Johnson & Johnson – 2.13달러의 분기 실적 발표한 후 상승. 수익은 애널리스트의 예상보다 낮았지만 Johnson & Johnson도 낙관적인 연간 예측을 내놓았습니다.
1월 25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 스타벅스(SBUX):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앱 사용량 증가 등 로열티 프로그램에 대한 소비자 호응이 강력하다고 언급했으며, 인건비 증가 등의 리스크를 고려해도 장기적 관점에서 매력적인 투자기회가 형성되었다고 판단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 애플(AAPL): Wedbush는 애플이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공급체인 개선에 따라 FY22 2분기에도 강력한 iPhone 13 시리즈가 판매고가 기록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과 목표주가 200달러를 유지했다.
▲ 일렉트로닉 아츠(EA): MKM Partners는 재무상태가 우수하고 비디오 게임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사 역시 M&A 대상으로 관심을 사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182달러에서 172달러로 하향했다.
▲ 크로거(KR): 웰스파고는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코로나19 사태 장기화가 동사에는 긍정적이나, 결국은 코로나19발 호재가 제거되면서 성장세가 정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투자의견을 시장비중에서 비중축소로 하향했으며 목표주가는 42달러로 제시했다.
▲ IBM(IBM): BMO Capital은 컨설팅을 위시한 서비스 사업 호조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소프트웨어 부문 성장세가 견고하게 유지되기어렵다고 지적했다. 투자의견은 marketperform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153달러에서 155달러로 조정했다.
▲ 할리버튼(HAL): Susquehanna는 유가가 강력한 상승세를 누리면서, 유전 서비스 섹터에서 다년간의 고성장 사이클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긍정적 전망 의견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32달러에서 33달러로 조정했다.
◆ 미국 증시
- DOW: 34,297.73p (-66.77p, -0.19%)
- S&P500: 4,356.45p (-53.68p, -1.22%)
- NASDAQ: 13,539.29p (-315.84p, -2.28%)
- 러셀2000: 2,004.03p (-29.48p, -1.45%)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72.03 (-1.07, -1.46%)
- MSCI 이머징지수 ETF: $48.22 (-0.09, -0.19%)
- 필라델피아 반도체: 3,350.85 (-129.1, -3.71%)
- Eurex kospi 200: 363.60p (+2.60p, +0.72%)
- NDF 환율(1개월물): 1,197.28원 / 전일 대비 2원 하락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5.97 (+0.052, +0.05%)
- 유로/달러: 1.1305 (-0.0021, -0.19%)
- 달러/엔: 113.87 (-0.08, -0.07%)
- 파운드/달러: 1.3509 (+0.0021, +0.16%)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1.0293% (+5.8bp)
- 5년물: 1.5674% (+2bp)
- 10년물: 1.7778% (+0.7bp)
- 30년물: 2.1213% (+1bp)
- 스프레드(10Y-2Y): +74.85bp (-5.11bp)
(국채선물)
- 2YR T-Notes: 108*19 (-0*02 , -0.08%)
- 5YR T-Notes: 119*15 3/4 (-0*08 , -0.21%)
- 10YR T-Notes: 128*04 (-0*12 1/2, -0.3%)
- US T-Bonds: 155*08 (-0*21 , -0.42%)
- Ultra US T-Bonds: 188*03 (-1*17 , -0.81%)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85.6 (+2.29, +2.75%)
- 브렌트유: 88.2 (+1.93, +2.24%)
- 천연가스: 4.05 (+0.02, +0.5%)
- 금: 1,855.00 (+10.8, +0.59%)
- 은: 23.896 (+0.096, +0.4%)
- 아연(LME, 3M): 3,572.50 (-23.0, -0.64%)
- 구리: 445 (+3.75, +0.85%)
- 옥수수: 620 (-1, -0.16%)
- 대두: 1,407.25 (+4.25, +0.3%)
- BDI: 1,391.00 (-24, -1.7%)
'미국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실적 발표 미국증시 3대 지수 하락마감.. 반도체 주식 큰 폭 하락 (0) | 2022.01.28 |
---|---|
미국증시 FOMC 3월부터 금리인상시작... 테슬라 실적발표 01. 26 (0) | 2022.01.27 |
미국증시 3대지수 급반등으로 시장 분위기 반전 01. 24 시황 (0) | 2022.01.25 |
미국증시 넷플릭스 실적 발표 시간외 급락.. 지정학적 리스크 01.20 (0) | 2022.01.21 |
미국증시 나스닥, 밸류에이션 부담 높은 종목 중심으로 하락 (0) | 2022.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