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는 ECB의 50bp 금리인상 발표를 소화하며 보합 출발 후 부진한 경제지표로 인한 ‘경기침체’ 이슈가 부각돼 장 초반 하락하기도 했음. 이러한 하락 요인은 이미 많은 부분 반영되어 왔던 점을 감안 영향이 지속되지 않았으며, 테슬라(+9.78%) 등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소화하며 상승 전환에 성공. 특히 최근 미 증시의 특징처럼 악재보다는 호재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였고, 국채 금리 하락과 달러 약세로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다우 +0.51%, 나스닥 +1.36%, S&P500 +0.99%, 러셀2000 +0.48%)
![](https://blog.kakaocdn.net/dn/cxl3yR/btrHSBL82PY/XmpB1NPfDzuJFJcI8fVWXK/img.png)
ECB가 통화정책 회의를 통해 11년만에 금리를 예상보다 큰 폭인 50 bp 인상했다. ECB는 인플레이션 위험에 대한 판단을 다시 하며 정상화를 위해 예고했던 것보다 더 큰 첫 걸음을 떼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회의때마다 금리 결정을 하는 형태로 이행할 것 이라며 금리 인상을 지속할 것이라고 하면서 여기에 새로운 채권 매입 프로그램인 TPI(변속 보호기구)의 도입을 승인 했는데 이는 유로존 국채 금리 상승에 상한선을 두겠다는 의도로 설계된 것으로 EU내 경제 상황이 안 좋은 국가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AT&T 폭락 사유
금일 AT&T는 예상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발표했으나 가이던스를 제시하면서 Free cash flow 악화를 말하자 주가가 7%급락했다. FCF가 줄어든다는 것은 향후 배당금을 유지할 수 없을 수도 있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해 주가가 크게 하락.
항공주는 유나이티드 항공이 23년이나 되야 매출이 정상화된다고 언급하면서 하락했고 크루즈는 카니발이 10억 달러 규모의 주식을 할인된 가격에 매각하자 하락.
![](https://blog.kakaocdn.net/dn/npThQ/btrHUiEKJuC/wFNCkh3kLC7J7MjsL7OTq0/img.png)
테슬라는 예상을 소폭 상회한 실적을 발표한 데 이어 향후 전망에 대한 기대 심리가 높아지자 급등했다. 특히 실적 발표 후 많은 투자회사들이 매수 의견을 재확인 했으며 BOA 등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리비안은 아마존을 위한 전기 트럭을 출시하기 시작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상승했다.
아마존은 1차 의료 네트워크와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 라이프 메디칼을 주당 18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하자 상승 했으며 원 라이플 메디칼도 급등했다.
7월 21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 애플(AAPL): Canaccord Genuity는 5G 스마트폰 업그레이드 사이클이 향후 수 년간 애플 실적을 견인할 것이라고 보았으며, 서비스 사업을육성하면서 이익률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00달러를 유지했다.
▲ 록히드 마틴(LMT): Susquehanna는 F-35 전투기 사업의 향후 수 년간 전망이 밝다고 언급했으며, 미국과 동맹국들의 군수 예산 확대로부터수혜를 누릴 수 있다고 전했다. 긍정적 전망 의견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 539달러를 유지했다.
▲ 코카콜라(KO): 제이피모간체이스는 강력한 성장 모멘텀과 함께 주가 상승여력을 기대할 수 있는 방어주로 동사를 꼽았다. 다만 환손실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전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73달러에서 70달러로 하향했다.
▲ 룰루레몬 애슬레티카(LULU): 골드만삭스는 매크로 악재와 재고 증가 문제가 하반기 전망을 불투명하게 만들고 있지만, 브랜드 경쟁력이 점유율 확대를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강력매수 의견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456달러에서 365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도큐사인(DOCU): 파이퍼샌들러는 IT 기업들의 채용 축소와 같은 매크로 여건 악화를 지적하면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비중축소로, 목표주가를 65달러에서 54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유나이티드헬스 그룹(UNH): UBS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하반기 수술집행횟수 등의 불확실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입원율 상승 동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545달러에서 570달러로 상향했다.
◆ 미국 증시
- DOW: 32,036.90p (+162.06p, +0.51%)
- S&P500: 3,998.95p (+39.05p, +0.99%)
- NASDAQ: 12,059.61p (+161.96p, +1.36%)
- 러셀2000: 1,836.69p (+8.75p, +0.48%)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9.22 (+0.96, +1.65%)
- MSCI 이머징지수 ETF: $39.82 (+0.45, +1.14%)
- Eurex kospi 200: 320.05p (+1.25p, 0.39%)
- NDF 환율(1개월물): 1,307.40원 / 전일 대비 보합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2,916.81 (+43.85, +1.53%)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6.673 (-0.403, -0.38%)
- 유로/달러: 1.0223 (+0.0043, +0.42%)
- 달러/엔: 137.43 (-0.78, -0.56%)
- 파운드/달러: 1.1989 (+0.0016, +0.13%)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3.0871% (-14.0bp)
- 5년물: 2.9809% (-18.3bp)
- 10년물: 2.8784% (-14.8bp)
- 30년물: 3.0496% (-10.9bp)
- 10Y-2Y: -20.87bp (-0.80bp)
(국채선물)
- 2YR T-Notes: 104*26 1/2 (+0*10 , +0.32%)
- 5YR T-Notes: 112*09 1/2 (+0*29 , +0.81%)
- 10YR T-Notes: 118*29 (+1*9 , +1.09%)
- US T-Bonds: 140*11 (+2*4 , +1.53%)
- Ultra US T-Bonds: 155*19 (+3*4 , +2.04%)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96.35 (-3.44, -3.44%)
- 브렌트유: 103.86 (-2.89, -2.70%)
- 금: 1,731.30 (+18.70, +1.09%)
- 은: 18.72 (+0.10, +0.55%)
- 아연(LME, 3M): 2,936.00 (-70.50, -2.34%)
- 구리: 329.85 (-1.90, -0.57%)
- 옥수수: 573.50 (-17.00, -2.88%)
- 밀: 806.25 (-10.75, -1.31%)
- 대두: 1,301.50 (-29.50, -2.21%)
'미국증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2분기 실적 하이라이트 주간과 FOMC 미팅을 기다리며 혼조 (0) | 2022.07.26 |
---|---|
미국증시 시황 07. 22 (0) | 2022.07.23 |
미국증시 시황, 테슬라 실적발표와 ECB 회의 기대 07. 20 (0) | 2022.07.21 |
미국증시, 예상보다 견고한 기업실적에 침체 우려 완화에 상승 07. 19 (0) | 2022.07.20 |
미국증시 시황, 애플의 경기침체 이슈로 고용 축소와 투자 감소 주가하락 07. 18 (0) | 202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