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아마 실업급여를 검색해보시는 분들이라면 회사의 경영상 혹은 기타 이유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거나 퇴사예정이신 분들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직을 바로 못하는 경우 실업급여를 받아야 하는데 이번 글을 통해서 내가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ugur, 출처 Unsplash

업급여란?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실직으로 인해 재취업을 알아보는 기간 동안 받을 수 있는 급여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만약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수개월 동안 취직이 안되고 있으면 이로 인해 불안정한 생활과 함께 큰 어려움이 있을것입니다. 그럴 경우 적지 않은 도움이 될 수 있을꺼라 생각됩니다.

그럼 나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

직전 18개월동안 고용보험가입기간이 180일 이상 이어야 합니다. 쉽게 말해서 6개월 미만 일했을 경우는 받을 수 없습니다. 현재 일할 능력이 있는데도 취업을 못한 경우, 이직 사유가 본인의 의지로 퇴사가 아닌경우에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실엽급여가 인정이 되지 않는 경우

본인 스스로 회사를 나온 경우

회사에 큰 손해를 끼친 경우

법적인 문제로 실형을 선고 받아 해고된 경우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를 퇴사하고 다른 회사로 이직하는 경우는 받을 수 없습니다.

 

회사가 맘에 안드는데 자발적 이직 같은 경우는 절대 못받나?

 

NO! 정당한 이직(퇴직)사유가 있으면 가능

- 회사에서 임금을 주지 않고 미루거나 70% 미만으로 받는 경우

- 경제가 안좋아 회사가 어려워 퇴직을 권하는 경우

- 회사지방이전으로 인해 집이랑 거리가 3시간 이상 걸려 출퇴근이 어려운 경우

- 직계존속이 아파서 직접 한달이상 병간호를 해야하는 경우

- 질병으로 인해 회사일을 하기 어려운 경우

- 임신이나 출산 도는 어린아이의 육아 문제로 일하기 어려운 경우 육아휴직을 허용하지 않아 다른 곳으로 옮긴경우

 

퇴직후에 12개월 안으로 신청을 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사이트에서 자격확인을 모의테스트할 수 있으니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ei.go.kr/ei/eih/eg/pb/pbPersonBnef/retrievePb190Info.do

 

고용보험 제도 - 개인혜택 - 자격확인

근로자가 실직했을 때 일정기간 급여를 지급하여 생활의 안정 및 재취업을 도와주는 제도 입니다. 다음 절차는 실업급여 수급자격요건 판단 및 실업인정 모의테스트 입니다. 01 고용보험 가입여

www.ei.go.kr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