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Overweight) 위클리] 메모리 반도체 업종의 투자 심리 개선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변운지
◈ 지난주 주간 수익률은 코스피 -0.02%, 코스닥 +0.77%, KRX 반도체 -0.20%, 미국 iShares Semiconductor ETF +1.43%, 대만 반도체 +1.19%, 중국 반도체 +2.14% 기록. 11월 들어 반도체 업종의 투자 심리가 긍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 미국 반도체 업종은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에 잠시 주춤하다가 우려를 극복하며 금요일에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줌
◈ 메모리 반도체 업종에서는 삼성전자 +0.6%, SK하이닉스 -0.5%, Micron +6.0%, Western Digital +7.8%, Nanya Technology +4.6% 기록. 미국, 대만 기업 위주로 양호한 주간 수익률 시현. DRAM 현물가격 하락 폭 완화가 주가에 긍정적. 2019년과 2020년에는 DRAM 현물가격이 연말(12월)에 반등. 이번에 12월을 앞두고 현물가격 하락 속도가 완화된 것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
◈ 한국 반도체 수출은 10월에 이어 11월 1~10일 잠정치도 여전히 견조. 한국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3% 증가한 183억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그중에서 반도체 수출은 37.8억 달러로 +45.3% 증가. 수출 품목 중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업종의 수출 증가율(철강제품 +39.8%, 석유제품 +81.5%, 승용차 +6.3%, 무선통신기기 -10.0%) 대비 반도체 수출 증가율(+45.3%) 양호. 그 밖에 컴퓨터 주변기기와 가전제품 수출은 각각 3.9억 달러, 2.6억 달러로 +67.2%, +35.1% 증가. IT 하드웨어 관련 수출 지표 전반적 견조
◈ 하나금융투자 커버리지/관심종목에 해당하는 중소형주 중에서 테이팩스가 주간 수익률 +21.9% 기록.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09억 원과 65억 원으로 예상에 부합. 2021년 4분기 및 2022년에 2차전지 절연용 테이프를 중심으로 매출 성장이 이어진다는 점이 주가 상승 견인. 테이팩스처럼 전통적 본업과 더불어 2차전지 관련 소재 사업으로 실적 성장을 추진하는 기업이 2022년에도 지속해서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 테이팩스, 덕산테코피아, 한솔케미칼 등
◈ 한편 중소형주 중에서 코미코와 에스티아이의 주간 수익률은 각각 -3.8%, -3.0% 기록. 코미코의 3분기 매출(666억 원)은 미국 법인의 해외 고객사 코팅 수요 등에 힘입어 예상을 상회했으나 3분기 영업이익(150억 원)이 2분기(163억 원) 대비 감소해 주가 하락. 주식보상원가가 비용으로 잡혀 3분기 영업이익에 영향을 끼침. 한편, 에스티아이의 경우 3분기 매출은 821억 원으로 분기 매출 개선 시기가 4분기로 미뤄져 아쉽지만, 4분기 매출 전망은 긍정적. 수주 잔액이 1,818억 원이나 되며 추가적으로 해외(아시아) 고객사로부터 수주 가시화
◈ 미국과 대만에서는 데이터센터 수혜 업종 강세. AMD(프로세서) +8.5%, Nuvoton(서버용 칩) +7.3%, Aspeed(서버용 칩) +9.1% 기록. 전방 산업에서 페이스북(메타 플랫폼) 및 텐센트의 실적 발표 전후로 서버용 칩 공급사가 메타버스 수혜주로 주목받게 됨. 아울러, 엔비디아가 GPU Technology Conference를 개최하며 자율주행차, 옴니버스 아바타, 로보틱스를 아우르는 다양한 기술을 소개한 것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 영향
◈ 엔비디아는 실시간 대화형 AI 로봇 Toy Jensen, 대화형 키오스크 Project Tokkio, BMW의 가상(Virtual) 생산라인 등의 동영상을 공개. 자율주행 시스템 하이페리온 8을 선보인 동영상에서는 자율주행차량의 운행 시 (1) 보행자가 있는 횡단보도 앞에서 일단 멈춘 후 보행자가 없을 때 통과하는 모습, (2) 동근 형태의 회전교차로(Roundabout)를 막힘 없이 지나가는 모습, (3) 킥보드 보행자 앞에서 잠시 멈추는 모습 등 자율주행차용 센서가 주변 환경 변화에 즉각적이면서도 자연스럽게 반응하는 기술을 선보임
◈ 중국 반도체 업종에서는 반도체 장비주 Naura(北方華創), Advanced Micro-Fabrication Equipment(中微半導體設備)가 각각 +16.7%, +8.1% 상승. 전방 산업에서 파운드리 반도체 기업 화홍반도체(華虹半導體), SMIC(中芯國際)가 각각 12인치 증설 및 mature node 증설에 적극적인 의사를 표명해 반도체 장비주의 수혜가 이어진다는 기대감 때문
◈ 반도체 업종의 투자 심리가 긍정적으로 유지되는 가운데 금주에는 엔비디아와 Applied Materials(반도체 장비주)가 실적 발표 예정. 아울러,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회담 결과가 반도체 업종의 투자 심리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지켜볼 필요가 있음
전기전자/휴대폰(Overweight): 호실적으로 테크 업종에 대한 관심 유발 성공_IT 김록호
◆ 리뷰 및 업데이트: 전기전자 업종 전반적으로 양호
코스피는 오랜만에 기관과 외국인의 순매수하며 4주만에 하락세를 멈췄다. 커버리지 대형주 중에서는 LG이노텍이 13% 상승해 지수를 크게 상회했다. 애플의 XR기기에 대한 관심과 패키지기판의 이익 기여도가 부각된 것으로 생각된다. 하나금융투자는 3분기 실적 리뷰 보고서 작성하면서 목표주가를 32만원으로 상향한 바 있다. LG전자는 대형주 중에서는 유일하게 주가가 하락했는데, 글로벌 가전 업체들의 최근 주가 흐름과 상반되고 있고, 가장 저평가 받고 있다는 점은 상기할 필요가 있다.
코스닥은 0.8% 상승하며 5주 연속 코스피를 상회했다. 역시나 외국인이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전기전자 업종에 속해 있는 종목들은 지수를 상회하는 업체가 많았다. 하나금융투자 커버리지 중에서는 서울반도체와 와이솔의 주가가 하락했는데, 3분기 실적이 부진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심텍, 대덕전자, 해성디에스는 모두 주가가 15% 이상 상승했다. 패키지기판 업체들에 대해서는 지겹도록 추천하고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테크 업체들도 전반적으로 2주 연속 주가가 양호했다. 세트 업체 중에서는 가전 업체들의 주가가 2주 연속 상승했는데, 월간 수익률도 Whirlpool 16%, Electrolux 9%로 양호하다. Whirlpool은 실적발표하면서 중장기 매출액 성장률을 기존 3%에서 5~6%로 상향한 것이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중이라는 판단이다. 패키지기판 업체들의 주가는 Ibiden을 제외하고 강보합 수준이었고, 국내 패키지기판 업체들이 일제히 상승폭이 컸다. 국내 업체들만 주가가 소외됐었는데 호실적 및 호실적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되고 있다. MLCC 업체 중에서는 Taiyo yuden이 혼자 8% 이상 상승했다. 상반기 Capacitor 매출액이 가이던스를 하회했음에도 하반기 가이던스를 상향한 것이 주효했다는 판단이다.
◆ 전망 및 전략: 실적발표 마무리. 일단 패키지기판 업황을 즐기자
국내외 테크 업체들의 실적발표가 마무리되고 있다. 하나금융투자가 커버하고 있는 종목들은 모든 종목의 실적발표가 마무리된 상황이다. 패키지기판 호황 및 해당 업황에 의한 실적 레버리지도 확인했다. 패키지기판은 물량과 가격이 동반 상승하며 예상했던 것보다 수익성 개선폭이 크게 나타났다. 고무적인 것은 현재의 고수익성이 지속 가능하며, 추가적인 개선 여력이 상존하기 때문이다. 글로벌 패키지기판 업체들의 실적과 가이던스 등을 고려했을 때 해당 업황에 속한 종목들은 반드시 보유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IT 수요 저변의 확대는 비매모리 출하량 증가를 야기했고, 이는 패키지기판과 MLCC의 수요에도 긍정적이다.
◆ 일정 및 예정: 중국 10월 스마트폰 출하량
10일 전후로 발표되던 10월 스마트폰 출하량이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지난 8~9월 출하량도 뒤늦게 발표된 바 있다. 10월 스마트폰 출하량은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인해 양호한 데이터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Apple의 출하량 및 전월대비 증가를 통해 13 시리즈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Battery Weekly 이배속-하나금투 2차전지/디스플레이 김현수, 위경재]
'미국 투자 발표 본격화'
▶️ Car : 리비안 한 주간 +20% 상승
- 일런 머스크의 매도 이후 Tesla는 한 주간 -15.4% 하락했고, 뉴욕 증시 상장한 리비안은 한 주간 +20% 상승했다. 애플은 테슬라 자율주행시스템 개발 담당자 ‘크리스토퍼 무어’ 포함 SW 핵심 인력을 영입했다.
- 전고체 배터리 개발 업체 퀀텀스케이프는 배터리 제조 전용 공간 ‘QS 캠퍼스’ 신축 건물 3개 동에 대해 10년 임대 계약 확정했고, 해당 발표 이후 퀀텀스케이프 주가는 21% 상승했다.
- 미 의회에서 1,000조원 규모 인프라예산법 통과되면서 미국 전역 전기차 충전망 구축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 Cell : CATL, BYD 추가 자금 조달 통해 공격적 투자 지속
- 배터리 대형주 3사 합산 유니버스는 한 주간 -1.4% 하락하며 코스피 대비 1.4%p Under-perform 했다.
- 테슬라가 기본형 모델에 LFP 배터리 사용을 공식화했고 고급형 모델에 4680 배터리 적용 위해 파나소닉과 개발 협력 확대한다.
- BYD가 올해 1월 4.5조원 자금 조달한데 이어 10개월 만에 유상증자 통해 2조원을 추가 조달했다. 한편, CATL은 약 10조원 규모 유상증자 추진 중이나 중국 당국의 제재로 일정 지연되고 있다. CATL은 연 생산 40GWh 배터리 공장 신규 건설위해 추가 2.7조원 투자 발표했으며, 이 외 1조원 투자해 ESS 생산 기지 구축 계획이다.
▶️ Material/Equipment : 나는 이번 여름 미국으로 간다
- 2차전지 소재 합산 유니버스는 한 주간 +9.4% 상승했다. 미국 투자 발표한 에코프로비엠이 이번주에도 +12.8% 상승했고, 미국 배터리 리싸이클링 업체 Redwood Materials와 협력 시작한 엘앤에프 역시 미국 투자 기대감 조성되며 +9.8% 상승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 통해 미국 투자 공식화하며 한 주간 +16.1% 상승했고 미국 진출 기대되는 동화기업 역시 +30.9% 상승했다. 국민연금 및 국내 4대 공제회 펀드로부터 1조원 조달해 미국 및 유럽 투자 계획 중인 일진머티리얼즈도 한 주간 +6.3% 상승했다.
- 포스코케미칼은 중국 인조흑연 음극재 기업 시누오社 지분 15%를 인수해, 경영 참여 더불어 국내 배터리사 대상 독점 판매권 확보했다
- 캐나다 First Cobalt는 사명을 Electra Battery Materials로 변경하고 배터리 양극재 생산 시설 설립과 함께 니켈, 코발트 및 전구체 화학물질 생산을 추진한다.
- 리튬 YTD +261%, 망간 YTD +81%, 코발트 YTD +70% 가격 급등했으나 메탈 가격의 판가 연동 계약으로 인해 소재 및 배터리 업계 피해는 최소화되고 있으며 현재 계약 구조상 가격 부담은 완성차 업계로 전가될 전망이다.
- 광물별 전주 평균치 대비 가격 증감률은 리튬(+0.7%), 니켈(+0.4%), 코발트(+3.9%), 망간(-4.2%), 알루미늄(-2.6%), 구리 (+0.8%)로, 코발트 5주 연속 상승, 망간 3주 연속 하락, 알루미늄 5주 연속 하락했다.
▶️ 투자 전략 : American Dream
- 실적 발표 시즌에 언급된 공통 단어 두가지는 반도체와 미국이다.
-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인해 전기차 생산 차질 발생하며 삼성SDI,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등 대부분의 셀 및 소재 업체들의 4분기 매출 QoQ 증가가 제한적일 전망이다.
- 한편, 상기한 업체 포함 동화기업, 솔루스첨단소재 등 거의 모든 기업들이 미국 투자를 공식화했다. 2025년 USMCA 시행 앞두고 2024년부터는 미국 공장 가동 돌입해야 하는 상황에서 2022년부터는 공장 착공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2021년 말 ~ 2022년 초 소재 기업들의 연쇄적인 미국 투자 발표가 이어질 전망이다.
- 미국 시장의 경우 타 지역과 달리 중국 배터리 서플라이 체인과의 경쟁 강도가 제한적인 지역이라는 점에서 한국 배터리 서플라이 체인의 투자 선점에 따른 메리트가 클 것으로 판단한다. 지금까지 소재 기업들의 투자 발표 여러 차례 있었으나 미국 투자에 주가가 유난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 반도체 공급 부족이 단기간내 해소되기 어려운 것 사실이나 OEM들이 탄소 배출 규제 하에서 제한된 차량용 반도체에 대한 EV 우선배정 움직임 지속될 것으로 판단한다. 미국 투자 모멘텀 및 향후 3년 실적 성장 모멘텀 강한 종목들에 대한 Top picks 관점 유지한다(삼성SDI,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천보, 동화기업, 솔루스첨단소재).
'투자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엣지 컴퓨팅 시장 전망 2026년까지 연평균 19% 성장 (0) | 2021.11.19 |
---|---|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전망 (0) | 2021.11.16 |
인플레이션은 높지만 스테그플레이션은 아니다. (1) | 2021.11.14 |
2021년 인터넷에서 1분마다 생기는 데이터 (0) | 2021.11.11 |
전기차 경쟁에 따른 2025년 전망 (0) | 2021.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