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미국과 중국의 국방 예산 차이
미국의 FY 2025 국방 예산이 8,952억 달러로 발표되었어요.
1% 증가량에 불만이 있죠.
미국은 연방 부채 한도 합의로 국방 예산을 1,200조 원으로 제한하고 바이든이 병력 축소로 논란을 일으킵니다.
중국은 국방비를 7.2% 증가시켰고, 미국이 1% 증가할 경우 중국을 따라잡지 못한다는 우려가 있어요.
![](https://blog.kakaocdn.net/dn/bg0RXw/btsF1sCAagk/dBAnsakcYYkmAByKuY4Kv1/img.jpg)
미 해군 비판 이유는?
미 국방 예산은 압도적으로 세계 1위죠.
미 해군을 중점으로 비판받는데, 미 해군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함대를 보유하고 있어요.
미 해군이 2025년까지 함선을 296척에서 287척으로 줄일 가능성이 높아졌대요.
중국은 이미 2020년에 미 해군을 추월하고, 2025년에는 해양 상·하조 및 함선 보유 측면에서 큰 거리를 낼 것으로 예상돼요.
그러나 양만으로만 본다면 중국이 세계 최대의 함선 보유국이 맞지만, 품질 측면에서는 미 해군의 항공모함이 우세해요.
![](https://blog.kakaocdn.net/dn/blQ20M/btsF3EheYMD/65XmADMS0uVyK5xUOt3IKK/img.jpg)
미국 해군의 함정 생산 능력 부족
미국 해군은 전함 숫자를 늘리기 어렵고 함정 생산 능력 부족한데, 국방 예산은 줄어들고 있어요.
해전에서 소모하는데 함정 생산이 안 되어 계속 충원이 필요해요.
미국은 전세계에서 생산 우수하나, 함정 생산 능력 부족하여 잠수함 구매가 제약받고 있어요.
미국 조선소는 연간 1.4척만 제작 가능하여, 용량 부족으로 잠수함 구매가 어려워하는 상황이에요.
![](https://blog.kakaocdn.net/dn/mUTvk/btsF1L2XCYQ/pTIwvpiKM1wPtxagK8RZY1/img.jpg)
미국 조선업의 현재 상황과 전망?
미국 조선업의 부진으로 2025년에 해군 함정을 7척 대신 6척만 만든다는데요.
과거에는 2차 세계대전 때 5년 동안 4,600척의 선박을 생산했지만, 현재는 그 숫자가 감소되고 있어요.
냉전이 종식된 후 미국의 조선업은 쇠퇴하고, 해군용 조선소가 문을 닫았으며 한중일이 조선 업계를 주도하고 있어요.
미국 최대 조선기업은 군함 수주에 의존하고 있어 경쟁력이 감소하고 기술 발전이 미미한 상황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Hi92/btsF13WGxWq/Qoe7oCylfxCdEBAZmb6DZ1/img.jpg)
미국 선박 생산 능력 현황
미국의 선박 생산 능력은 전세계에서 0.13%로 현재 쇠약한 상태이며 200년 전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어요.
중국, 한국, 일본은 선박 생산에서 선두를 하고 있지만, 미국은 거의 제로에 가깝아요.
해군력 약화에 따라 조선소 현대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지만 진전이 더디고, 전문가 부족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답니다.
부가가치 부족, 자금 투입 부족 등이 원인으로 전문가 부족과 경쟁력 감소를 겪고 있어요.
![](https://blog.kakaocdn.net/dn/cxkV2G/btsF09J5K0S/gbQbIufrR630xuiMdCJ130/img.jpg)
미국의 조선업 법과 군함 수출 제한
한 나라에서 다른 나라로 배를 팔 수 있다면, 한국이나 일본 배를 구매하면 돼요.
하지만 군함 같은 고가의 군수품은 미국이나 일본에게 줄 수 없다요.
미국의 1920년대 조선업 보호법으로 인해, 미국 내 한국으로 운송되는 배는 미국에서 건조되고 소유되어야 해요.
놀랍게도 미국은 대서양과 태평양을 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배를 이용한 화물 이동은 드물고 매우 비쌈이에요.
![](https://blog.kakaocdn.net/dn/bGGA8E/btsF1t9nLYh/1h6OhE3SxMMoyVUyKNTMg0/img.jpg)
해운 전략과 함정 건조 문제의 영향은?
미국에서 해운 경로 최적화를 위해 멕시코를 경유하는 전략으로 해외 수송 비용 절감하고 국내 수송을 회피하죠.
미국 내 수송이 강화되어 석유 등을 국내 수송보다 더 싼 가격에 이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 해군의 함정은 미국 내에서 건조돼야 해외 수입 물자를 운반할 수 있죠.
이 문제로 미국 내 조선업이 어려움을 겪고 국내 무기 생산이 중단될 위험이 있습니다.
미국 해운 법제도 개선으로 미국 내 고용 확대가 가능하며 미해군의 무기 수급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88ck4/btsF1Cd4rTI/7e63XTKFwSmNC4HiSk00W0/img.jpg)
미국의 조선산업 현황과 외국 투자
미국에서는 배 이용이 비싸서 파이프라인과 철도가 주로 화물을 이동시키죠.
외국 기업이 미국 내 조선소에서 건조시에는 법적 위반이 없다고 해요.
미국 내 조선소에 투자하면 미국 고용이 증가하고, 미국의 법적 투자가 가능하답니다.
한국 조선 기업들은 미 해군함 건조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미 해군성장관과 협조하고 있다고 해요.
![](https://blog.kakaocdn.net/dn/bAft9r/btsF3eC4Okd/n7iohOUenvDurpPBewyPsK/img.jpg)
미 잠수함 수리로 한국 조선사의 기회는?
미국 잠수함 2021년 자초로 미국 본토 복귀해요, 2026년 5년 걸려 나올 거죠.
미 해군 MRO는 한국이나 일본에 위탁되며 관심 상승했어요.
미해군 군함 수리로 조선사들의 새로운 사업 기회가 열리며, MRO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돼요.
조선사는 조선사답게, 공정한 제조에 주목하며 기술 혁신을 기대할 거예요.
![](https://blog.kakaocdn.net/dn/0bqiu/btsF17dzjPU/GgOr4kAwK184CVhKNbURW1/img.jpg)
한국 기업의 미국 진출방식은?
이탈리아, 호주 기업들이 미국 내에서 성공을 거두는 가운데, 한국 조선소는 M&A를 통해 통폐합하며 미국으로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어요.
한국 조선해양과 다른 회사가 미국 법인 설립 및 조선소 인수 가능성을 발표했어요.
한국의 조선산업이 중국 경쟁에 직면하면서 미국으로의 진출이 대안으로 떠올랐으나 고용 및 생산량 등 다양한 이슈가 존재해요.
미국 군함 유지보수 등의 MRO에 참여하여 중국 경쟁에서 탈피하려는 한국 기업들의 시도와 고민이 나타나고 있어요.
![](https://blog.kakaocdn.net/dn/bOtBSe/btsF04a9jO6/IjZNX0M0e2lKGJqCjctxv1/img.jpg)
미국과 한국의 인재 공급 및 산업 전환 비교
미국은 IT 및 과학 분야 인재를, 한국은 제조 분야를 중심으로 공급하고 있어요.
과거 미국은 군수 물자법을 통해 전쟁 시 생산설비를 조정해 선박 생산량을 대폭 늘렸어요.
미국은 선박 생산에 손실을 보며 흡수되는 기회와 경제적 이유를 고려하고 있어요.
한국은 조선산업을 통해 미래 기회를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728x90
반응형
'투자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다음 혁명은 글라스 기판 (1) | 2024.04.08 |
---|---|
로봇 산업의 현재 상황 (1) | 2024.04.07 |
미국과 중국 갈등, 한국 해운산업에 긍정적 영향? (1) | 2024.03.18 |
엔비디아(NVDA)의 브랜드가치와 통계로 본 주가의 계절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4.01.10 |
메타(META)의 브랜드가치와 통계로 본 주가의 계절성: 유망한 투자 시점을 찾아보자! (0) | 2024.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