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레터

애플, 19조원 역대급 빅딜 터지나? AI 검색엔진 '퍼플렉시티' 인수설의 모든 것 (feat. 구글과의 결별 신호탄?)

goodst 2025. 6. 24. 09:36
728x90
반응형

최근 테크 업계를 뒤흔들 만한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바로 애플(Apple)이 AI 검색 엔진 스타트업 '퍼플렉시티(Perplexity) AI'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인데요. 만약 성사된다면 인수 금액은 무려 140억 달러(약 19조 4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애플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인수합병(M&A)이 될 전망입니다.

오늘은 이 '역대급 빅딜'설이 왜 나왔는지, 그리고 이 인수가 애플과 구글, 나아가 AI 시장 전체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괴물 신인 '퍼플렉시티 AI', 대체 어떤 기업이길래?

우선 이번 인수설의 중심에 있는 '퍼플렉시티 AI'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퍼플렉시티 AI는 대화형 AI 검색 엔진으로, 사용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기존의 구글처럼 여러 웹사이트 링크를 나열하는 대신, AI가 정보를 요약하고 출처와 함께 종합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지 않게 해준다"는 평을 받으며 차세대 검색 엔진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죠.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근 기업 가치는 140억 달러로 평가받았습니다. 위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 이는 애플이 30억 달러에 인수한 '비츠(Beats)'나 10억 달러에 인수한 '인텔 스마트폰 모뎀 사업부'를 압도적으로 뛰어넘는 금액입니다.

 

2. 애플은 왜 '퍼플렉시티' 인수에 군침을 흘리나?

그렇다면 애플은 왜 이토록 천문학적인 금액을 지불하면서까지 퍼플렉시티 인수를 고려하는 것일까요? 여기에는 두 가지 핵심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뒤처진 AI 경쟁력 만회

솔직히 말해, 애플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경쟁사에 비해 생성형 AI 경쟁에서 한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왔습니다. '시리(Siri)'는 더 이상 혁신적이지 않다는 비판을 받고 있죠.

퍼플렉시티의 강력한 AI 검색 기술을 인수한다면, 애플은 단숨에 AI 경쟁의 선두권으로 도약할 수 있습니다. 시리, 사파리, 스포트라이트 검색 등 애플의 모든 서비스와 기기에 퍼플렉시티의 AI 엔진을 통합하여 사용자 경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입니다.

둘째, '탈(脫)구글'을 위한 최고의 카드

더욱 중요한 것은 바로 '구글'과의 관계입니다. 현재 애플은 아이폰, 아이패드 등 자사 기기에 구글을 기본 검색 엔진으로 탑재하는 대가로 연간 200억 달러(약 27조 7천억 원)라는 막대한 금액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계약은 현재 미국 법무부의 반독점 소송에 휘말려 있습니다. 만약 법원이 이 계약이 불법이라고 판결할 경우, 애플과 구글의 오랜 파트너십은 막을 내리게 됩니다. 애플 입장에서는 구글을 대체할 강력한 검색 엔진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며, 퍼플렉시티는 그 최고의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3. '애플+퍼플렉시티'가 불러올 나비효과

만약 이번 인수가 현실이 된다면, IT 시장에는 엄청난 지각 변동이 예상됩니다.

  • 애플: 자체 AI 검색 엔진을 확보하며 'AI 지각생'이라는 오명을 벗고, 자사 생태계를 더욱 강력하게 구축하게 됩니다.
  • 구글: 최대 고객 중 하나인 애플을 잃게 되어 검색 시장 지배력과 광고 수익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 사용자: 아이폰 사용자들은 더욱 똑똑하고 개인화된 AI 비서 및 검색 경험을 누리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 아직은 '설', 하지만 단순한 루머는 아니다

물론 아직 애플과 퍼플렉시티 간의 공식적인 논의는 시작되지 않은 '검토' 단계입니다. 하지만 애플의 인수합병 책임자와 서비스 총괄 등 최고위층에서 진지하게 논의했다는 점, 그리고 구글과의 계약이 위태로운 현 상황을 고려할 때, 이번 인수설은 결코 가볍게 넘길 사안이 아닙니다.

과연 팀 쿡은 애플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베팅에 나설까요? 구글의 시대가 저물고, 새로운 'AI 검색'의 시대가 열리게 될지, 앞으로의 행보를 관심 있게 지켜봐야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