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디즈니(DIS)

초기 사업은 만화영화 제작이었으나 이후 다양한 미디어 업체들을 인수합병하 면서 글로벌 최대 콘텐츠 업체로 변화

디즈니의 주요 브랜드

ABC(96년인수), 픽사(06년인수), 마블(09년인수),

루카스필름(12년인수), 21세기 폭스(19년인수)

사업부별 매출 비중

테마파크&리조트 37%, 미디어 네트워크 35%,

스튜디오 15%, D2C 및 국제 13%

코로나 19로 인해 주력사업부 대부분이 매출타격

놀이동산, 리조트, 영화산업, 스포츠리그 연기 등

대부분의 사업이 중단되면서 타격이 심각한 수준.

좋은 소식은 디즈니+의 가입자가 늘어나는 추세

OTT시장에서 다양한 지적재산권을 활용한

글로벌 컨텐츠 기업의 면모를 보여줄 수 있음.

하지만 현재 미국 내 코로나 2차 확산 우려가 심해

디즈니 직원들이 놀이공원 개장을 반대하는

청원을 회사측에 전달했습니다.

현재 주가는 12개월 P/E 기준 43.2배로

역사적 밸류에이션 상단이라 부담스러워 보이지만

21년 36.5배, 22년 22.9배로 낮아질 전망

코로나가 종식되고 정상화가 된다면 가장 수혜를

얻는 종목 중 탑픽일 가능성이 높음.

디즈니의 주요 사업부

대부분의 디즈니 브랜드는 모를 수가 없는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유니버셜스튜디오가 입장객이

가장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분도 있는데

디즈니랜드가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디즈니가 마블의 어벤져스, 겨울왕국

알라딘 등 다양한 영화들이

박스오피스에서큰 흥행을 거두었는데

왜이렇게 매출에 반영이 안될까

생각하셨다면 디즈니에서 영화, 즉 스튜디오

매출 비중은 15%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영화가 아무리 잘되도 주가에 영향이

크게 미치지 않는 것입니다.

하지만 글로벌 박스오피스 점유율은

압도적 1위로 2~4위의 점유율을 합친 것 보다

높은 점유율입니다.

2019년 흥행순위에서 7개를 차지할 정도로

디즈니의 컨텐츠는 막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스튜디오 사업이 매출 비중이 작다고 하지만

거기서 발생되는 IP를 가지고 부가적인 사업에서

매출이 많이 발생됩니다.

초기 디즈니 사업모델

여러가지가 거미줄처럼 엮여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컨텐츠를 가지고

OTT사업을 한다면 경쟁력이 있을 수 밖에 없죠.

디즈니+가입자입니다.

최근 5천만명을 넘기고 6천만명을 향하고 있습니다.

원래 7일간 무료 시청이 가능했었는데

이번에 무료시청 서비스를 폐지하면서

이제는 무조건 결제를 해야지만 디즈니+를

시청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자신감인지 모르겠네요.

자신감이 있으니까 했을거라 생각합니다.

디즈니와 넷플릭스 가입자 비교

거의 절반가깝게 가입자를 따라잡았습니다.

출시한지 1년이 안되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엄청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존 사업들의 회복과 Disney+의 성장에 초점을

맞춘다면 디즈니에 대한 투자는 좋은 선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직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성장에 대한 방향성은 확실하다고 생각합니다.

자료 출처 : 신한금융투자 리서치센터

인플루언서 꼬마버핏

▶▷▶ 팬하기 ◀◁◀

함께보면 좋은 글

ETF 트렌드 2020 서평

1. 연금저축 시리즈

연금저축 배당 ETF로 하기

꼬마버핏의 연금저축 포트폴리오

2. 주식투자에 대한 기본적인 철학

주식투자로 돈버는 단순한 방법

성공하기 쉬운 투자 방법

3. 투자아이디어 소개

반려동물 산업 투자하기

해외 명품기업 ETF로 투자하기

5G ETF(FIVG) 투자하기

테슬라 총정리 꿈과 희망

4. 배당투자에 대하여

배당투자가이드 - 입문편

월배당 ETF - SRET

배당귀족에 투자하기 - NOBL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